Allled207 8. LG V30의 OLED사용의 의미 LG에서 새로 발표될 예정인 V30의 디스플레이가 드디어! OLED로 발매될 것 같습니다. 사실 "LG"하면 디스플레이, LG 디스플레이 하면 소형 디스플레이에서는 레티나로 일컬어지는 LCD제품의 신뢰도는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될 듯합니다. 그런데 그 LG가 자사의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LCD를 내려놓고 모험이라고도 할 수 있는 OLED를 채용했습니다. 사실 대형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LG의 OLED TV가 이미 상당한 영역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삼성이 OLED TV를 사실상 포기하고 QLED(아시는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삼성이 내놓은 QLED는 그냥 LCD티비의 개량형입니다.)를 주력으로 내세우면서 삼성의 OLED 라인업은 소형과 태블릿까지로 좁혀져 있습니다. "대형 OLED는 LG, 소형 OLED는 ..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7. 8. 8. 4. 수은에 대한 고찰 - 수은이 액체인 이유 수은의 유래 저번에 진공에 대해 포스팅을 하면서 토리첼리 실험내용을 언급하며 수은에 대해 언급을 했었습니다. 수은은 금속원소 중 유일하게 액체상태 아니 정확히는 상온(약25℃)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특별한 금속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특이한 금속인 수은(Hg, Mercury)에 대해 한번 알아볼 예정입니다. 수은(水물 수, 銀은 은) 이름이 물같은 은입니다. 화학과 물리에 대하여 지식이 없던 조상님들은 금속의 종류에 대해 구분하기 어려웠고 노란빛의 금속인 금이나 구리가 아니면 사실상 은색 금속들에 대해 정확한 구분이 힘들었을 겁니다. 그래서 은과 같은 빛깔을 보여주지만 물같이 액체처럼 보이는 이 특이한 존재의 이름을 수은이라고 지었습니다. 또한 영어이름인 Mercury는 수성(水星)과 영어이름이 같습.. 교양과학 이야기/개인적인 관심사 2017. 7. 31. 3. 외계인에 대한 고찰 오늘은 늦은시간에 외계인에 대한 잡설이 떠올라서 이렇게 글을 끄적여봅니다. 여러분들이 상상하는 외계인의 모습은 어떠한가요? 인간의 상상력은 무궁무진하며, 이를 바탕으로한 소설, 영화, 애니메이션 등에서 다루어지는 외계인의 형태 또한 너무나 다양합니다. 인간을 닮은 휴머노이드 형태부터 무형무체의 신적인 존재까지 다른사람의 상상력이 만들어 낸 외계인의 형태와 이야기들에 우리는 열광하며 상상력을 칭송하고 또 작품을 재미있게 즐깁니다. 그러나 사실 지금까지 공개된 내용으로는 외계인의 존재는 공식적으로 없습니다. 드레이크 방정식이라고 외계인이 우주에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을 표현한 방정식으로 전 우주에 존재하는 외계문명 수를 계산을 했지만 계산 결과는 '생명체의 존재는 지구가 유일하다' 와 '약 50개 수준이다'로.. 교양과학 이야기/개인적인 관심사 2017. 7. 27. 16. OLED의 색 : 엑시톤과 에너지밴드갭 그리고 스펙트럼 (1)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OLED의 역사, 구조, 그리고 간단한 구동원리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역시나 OLED를 공부하면서 느끼는 것은 결국엔 '아~ 그거?? OLED ... 전자랑 정공이랑 만나서 빛나는거??' 밖에 없다는 사실입니다. 그렇습니다. OLED는 결국 이게 어떻게 구동되고 어떻게 만드느냐도 중요하지만 나오는 빛이 얼마나 밝은지, 색이 어떠한 색인지가 결국 중요하겠지요. 그런데 OLED의 색을 결정하는 것은 발광물질의 에너지밴드갭이라고 보면 됩니다. 색을 이루는 스펙트럼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에너지밴드갭 만으로 모두 설명되는 것은 아니나 우리가 추구하는 교양수준의 OLED이론에서는 충분히 설명이 됩니다. 엑시톤(exciton)과 에너지밴드갭(energy band gap) 엑시톤과 에너..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7. 24. 2. 진공이란? 빈공간에 대한 고찰 진공팩, 진공청소기, 진공펌프, 진공관... 진공이란 이미 우리 생활에 깊숙히 관여하고 있고 진공이라는 상태를 만들어 내지 못했다면 우리는 절대로 현대문명의 찬란함을 느껴보지 못하였을 겁니다. 그러나 진공에 대해 우리는 무엇을 알고 있을까요?? 공대생이나 이공계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진공펌프와 압력단위인 Torr가 바로 생각 나실테고, 전혀 이쪽분야와 관계가 없는 분들은 진공포장 등이 먼저 생각나실겁니다. 그러나 무엇을 생각하던간에 우리는 진공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무엇을 잘 알지 못한다는 것일까요?? 일상 생활에서는 공기를 쪽쪽뽑아내서 빈상태로 만들면 진공이고 첨단분야에서는 10E-6(10의 -7승)Torr가 되면 고진공이라 부르고 상당히 안정적으로 제품을 뽑아낼 수 있는 상태라는 것.. 교양과학 이야기/개인적인 관심사 2017. 6. 29. 15. OLED의 구동원리 (5) - 재결합(recombination)에 대하여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OLED소자의 유기층내에서 전자의 주입 그리고 이동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알루미늄 그러니까 음극에 해당하는 금속에서 유기물로의 주입을 위해서는 적절한 외부 에너지원이 필요하다는 것 또한 알았고, 주입된 전자들 또한 유기분자사이를 이동해 나아가려면 호핑이라는 현상을 통해 이동해간다는 사실도 알아보았습니다. 자 생각해 봅시다. 전자를 주입시키고 이동시킨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바로 전자를 정공과 만나게 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단지 전자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구리박막을 이용하여 전자들을 시원하게 이동시켯을 겁니다. 그러면 오늘 이 시간에는 바로 우리가 원하는 전자와 정공이 어떻게 만나게 되는지 이해해보도록 합시다. 대부분의 OLED공부를 조금이라도 했다는 학생들에게 물어보면 ..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6. 28. 14. OLED의 구동원리 (4) - 전자이동원리 전자는 분자사이를 징검다리를 건너듯이 총총대며 나아간다! 지난 시간에 우리는 전자가 음극인 알루미늄에서 유기물내로 주입되는 세가지 이론적인 모델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동시에 전극을 이루는 금속박막과 유기물사이의 에너지 차이 때문에 전자가 주입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도 같이 알아보았습니다. 어찌어찌 힘들게 유기물로 주입된 전자가 유기물 내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동하게 될까요?? 오늘 이 시간에는 전자의 유기물 내에서의 이동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체.. 부도체.. 그리고 반도체!!?? 전자의 이동방법에 대해 알아본다고 해놓고 도체는 무엇이고 부도체 거기다 반도체까지 무슨 말일까요? 여기까지 제 포스팅을 읽으신 분들은 제 화법에 어느정도 익숙해 지셧으리라 믿습니다. 맞습니다. 전자의 이..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6. 26. 1. 인공지능에 대한 고찰 “단지 이 글은 인공지능에 대한 개인의 견해일 뿐임을 밝힙니다. 각자의 관점에서는 불쾌할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인공지능이란 단어를 아주 어렸을 때부터 듣고 자라온 것 같다. 다들 그러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인공지능이란 것이 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우리의 인생에 어떠한 접점이 생길지는 최근에 와서야 윤곽이 보이기 시작한 것 같다. 알파고를 비롯해서 테슬라, 구글의 인공지능 무인 자동차 등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적용되고 인간의 자리를 대체해가고 있다. 나는 이 인공지능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사람이다. 인공지능의 발전에 있어 특이점이라 부르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순간이 오면 인간이라는 종의 대체의 순간이라고 믿는다. 인공지능은 상황판단에 의한 의사결정의 최적.. 교양과학 이야기/개인적인 관심사 2017. 6. 26. 13. OLED의 구동원리 (3) - 전자주입원리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전자의 여행은 전자의 주입으로 시작된다.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전자가 갖는 에너지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자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만들어 내려는 우리는 입자적성질보다는 파동적성질이 OLED를 이해하는데 훨씬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아보았고, 전자가 갖는 에너지는 곧 전자가 갖는 파동에너지라는 것 또한 알았습니다. 그러나 전자가 갖고있는 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바꾸려면 아직도 많은 여행들이 남아있습니다. 전자의 본격적인 여행의 첫 이야기인 전자의 주입에 대해 이번시간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자의 마음은 갈대라오! 전자는 불안정한 상태를 참지 못하는 굉장히 안전주의적인 성격을 지닌 존재입니다. 어떠한 원인에 의해 자기가 속해있는 분자나 원자가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되면 전자는..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6. 26. 12. OLED의 구동원리 (2) - 전자에너지 개념 전자가 뿜어내는 에너지의 정체 지난 시간에는 OLED의 구동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OLED가 구동하는데 모든 현상을 만들어내는 전자라는 녀석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 '전자'라는 녀석이 OLED를 구성하고 있는 전극과 유기물사이를 어떻게 자유롭게 이동하고 게다가 밝은 빛까지 낼 수 있는지 전자가 갖고 있는 에너지에 대한 실체를 간단히 이해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전자는 파동덩어리이다!! 전자는 크게 두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자 근처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는 전자들과 상대적으로 원자 바깥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전자 두가지 형태로 나뉩니다. 원자 바깥에서 자유로운 전자들을 최외각전자 혹은 원자가전자라고 부르며 이 전자들은 원자의 최외각껍질에 위치합니다. 이..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6. 9. 11. OLED의 구동원리 (1) - 전자의 여행기 OLED는 어떻게 빛을 낼까요?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OLED의 개발역사와 구조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OLED가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는지 또 생김새는 어떠한지 알아보았으니 이제 이 OLED란 놈이 빛을 내는 과정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게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핵심적인 요소는 지난 포스팅까지 모두 다루었으니 대략적인 OLED 내용파악을 원하시는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참조해주시면 보다 빠른 이해가 가능하시겠습니다. OLED가 빛을내는 원리는 결국 전자의 여행기이다.. '전자'는 꼭 과학에 관심이 없는 사람에게도 현대시대에 너무나도 익숙한 단어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살아가면서 전자의 존재감에 대해 느낄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될까요?? 혹은 이러한 전자의 존재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6. 3. 10. OLED의 구조 (3) - 회로구조 OLED의 구조 세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번 두시간동안에 우리는 OLED의 단면적 구조인 다층구조, 그리고 평면적 구조인 픽셀구조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지난번 포스팅까지 읽어보신분들은 어느정도 OLED소자구조에 대해 대략적으로는 이해가 되셧으리라 믿습니다.(아니라면 질문을 해주세요!!) 이번 시간에는 단일 OLED 발광소자가 아닌 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OLED 디스플레이의 구동회로의 간단한 구조를 알아봄으로써 어떻게 불이 켜졌다 꺼지는지 최대한 간단하고 쉬운 예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OLED발광소자에 전기를 공급해봅시다!! 우리는 지난 두번의 포스팅을 통해 발광소자가 어떠한 구조를 가지는지, 이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눈에 보이지도 않는 픽셀들이 한개한개 어떻게 화면을 구성하..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6. 3. 이전 1 ··· 13 14 15 16 17 18 다음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