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C7 UPC 패널 원리 - 언더 패널 or 디스플레이 카메라에 대하여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건 어떻게 만들까요? 세상에는 많은 기술들이 있습니다. 대놓고 목적을 가지고 개발하여 완성된 기술이 있는 반면, 페니실린 같이 우연하게 실수로 발견하게된 기술들도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기술은 철저히 목적을 가지고 개발한 기술로, 과거 제가 OLED 철자공부부터 하던 학생시절에는 가히 꿈만 같던 기술이고, 세상에 등장하면 업계의 판도를 완전히 뒤집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한 기술 중 하나지만, 상상속의 기술인 것만 같던 기술이 막상 등장했는데도 음.. 완성도 때문인지, 제한된 모델에 적용되어 그런지 제 어린 맘에 기..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3. 3. 28. 청색 인광 재료 원리 2편 : UDC특허에서 보는 힌트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청색인광 재료 연구도 벌써 15년째.. 이제는 나와야 하지 않을까!? 지난 편은 청색인광재료가 가져야 할 기본 조건들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고, 이번 편은 이렇게 개발이 어려운 청색인광 재료의 돌파구를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청색인광 재료 1편은 관련 학과 학부생 수준 이상을 타깃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 독자분들에게는 조금 어려운 내용이었을 겁니다. 이번 편도 1편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독자분들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약간 어려울 수 있으나 최대한 쉬운 표현으로 기술을 소개해드리고자 난..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2. 12. 15. 50. 청색 인광 도판트란?? - 왜 아직도 나오지 않을까 마지막 남은 숙제, 청색 인광 발광체 청색 인광이라는 단어를 검색해서 이 글을 보고 있는 사람들은 적어도 디스플레이를 전공하거나, 업으로 삼거나 혹은 현직 대학생 그리고 관련 기술 정보를 얻고자 하는 투자자분들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전문 분야의 글이기도 하니 글의 난이도를 조절하기 조금 어렵기도 한데 할 수 있는 한 최대한 난이도를 낮추어서 이야기를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OLED는 상당히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이 엃혀있고, 이 기술들의 관계들을 입체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복합기술입니다. 따라서 이 글에 언급되는 단어나 용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되시면 페이지 상단의 블로그 내 검색을 통해서 조금 이해의 폭을 넓히시는 것을 먼저 추천드립니다. OLED를 정말 쉽게 큰 틀에서 이해해보자면 기판(양극)과 ..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9. 14. 49. UPC? UDC? 카메라가 없는 화면을 위한 필수 재료 CPM!!(Cathode Patterning Material) UDC 구현을 위한 필수적인 재료 - CPM(Cathode Patterning Material) UDC?? UPC?? 영어에서 매우 흔하게 여러 의미로 사용되는 이 약자들은 적어도 OLED 분야에서는 가장 최신 기술 중 하나이자 디스플레이의 기능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 그리고 디자인적인 면에서 완벽함을 가져다 줄 기술입니다. 저는 2019년에 UDC(Under Display Camera) 혹은 삼성에서 부르는 용어인 UPC(Under Panel Camera)가 곧 샤오미를 통해 상용화 된다고 포스팅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포스팅을 한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갤럭시 폴드에 이 UPC가 적용되어 나오고 있으니.. 참 세월도 빠르고 기술 발전도 빠른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이 세상에 등장한 이후로 디스플레이는 위 ..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9. 13. 42. 갤럭시S11에 도입될 소재로 본 OLED 재료 국산화 현황 삼성 갤럭시의 아몰레드는 매년 업그레이드 된다. 'M'에 울고웃는 기업들 : 유튜브로 보기 M9, M10. 뭐야 이게?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이름일 것이고, 사실 알 이유도 없습니다. 그러나 OLED 업계에서는 이 'M' 때문에 울고 웃고, 회사의 미래가 걸리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완전히 OLED의 문외한인 대다수의 일반인들을 기준으로 작성해보려 합니다. 최근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소재에 관하여 관심이 높아진 상태이고, 이에 따라 OLED 소재의 국산화 수준에 대해서도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OLED는 일반소비자들이 이해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기술용어, 원리 상의 장벽이 있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의 관심에 비해 깊게 알기 어려운 분야이기도 합니다...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9. 8. 29. OLED 재료 회사 UDC 어닝서프라이즈, 국내OLED주 청신호?? OLED 소재 장비 주, 미국 발 랠리 펼칠까 - 한국경제 임근호 기자 *기사원문 핵심기술 가진 미국 기업 호실적한국, 중국서 대규모 투자 이어지면에스에프에이 등 수주 확대 기대 기사내용 요약 - OLED 핵심 재료 기술 보유한 미국 UDC사의 1분기 호실적 발표- UDC는 유니버설 디스플레이 코퍼레이션(Universal Display Corporation)의 약자 - OLED 핵심 소재인 인광 재료의 원천특허 보유로 재료 설계, 생산, 공급 독점 중 - 1분기 매출 878만달러(10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1.4% 증가 - 영업이익은 344만달러(4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60.3% 증가 -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을 각각 36%와 117% 넘는 어닝서프라이즈 - 매출과 영.. OLED 이야기/OLED 뉴스들 2019. 5. 7. 7. OLED의 역사 (3) - 인광소자 개발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OLED의 역사적인 사건중 도핑소자 개발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간단히 정리를 해보자면 OLED의 역사 (1)에서 언급된 최초의 OLED 소자가 제작되고 발표된 사건은 분명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에는 충분했지만 발광특성이 기존의 형광등이나 심지어 백열들에도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그저 '아 저런것도 가능하구나' 정도의 의미 이상을 갖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OLED의 역사 (2)에서 다룬 도핑소자의 개발은 낮은 효율의 한계를 보여주었던 OLED가 상당히 개선된 효율을 보여줌으로써 발광장치로써의 가능성을 열어준 사건이었습니다. 오늘은 그러면 어떠한 사건이 또 언급될까요 다시한번 OLED 개발역사에 있어 중요한 11가지 사건을 열거해봅시다. 1. 1965년 : 안트라센(Anth..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5.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