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판7 8. 플렉서블 글래스(Flexible Glass) 이야기 포기할 수 없는 글래스의 장점들..글래스는 기판으로써 갖는 장점이 너무나 분명한 재료입니다. 유리가 갖는 열팽창계수, 수분산소차단성, 투명도 그리고 표면 거칠기 등 사실상 기판이 가져야할 모든 특성을 가진 재료입니다. 그러나 다들 아시다시피 글래스는 잘 깨지며, 유연하지 못하다는 가장 큰 단점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연구진들이 글래스를 잘 깨지지 않게하며 유연한 특성을 조합시키려 노력하였고 어느정도 이러한 특징을 갖는 기판재료들이 선보이고 있습니다. 사실 유리는 흐물흐물한 재료입니다. 질이 낮은 순수 유리로 된 창문이 시간이 지날수록 위쪽이 헐거워 지면서 달그락 대는 현상도 유리가 흐물흐물하기 때문에 아래 방향으로 자꾸 흘러내려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그러나 그 속도가 너무나 느려 인..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4. 30. 7. 금속박 기판(Metal Foil substrate) 이야기 복원성이 없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기판고분자 기판(Polymer substrate)은 분명히 유연한 특성을 가집니다. 그러나 이 기판의 가장 큰 특징은 형태 복원성이 너무 크다는 겁니다. 여러분들은 경험상 패트병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은 구부리기는 쉬우나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크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만드려는 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이 성질은 좋게 작용할 수도 나쁘게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항상 빳빳하게 펴있다가 잠깐 모양만 바꾸어야 하는 경우에는 복원력이 크면 매우 좋지만, 특정 모양을 계속 유지시키고 싶은 옥외 광고나 형태적으로 디자인 된 조명에서 사용하려고 하면 큰 복원성은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오늘 소개할 금속박 기판은 특정 목적에서 굉장히 유용한 대안이 될 ..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4. 20. 6. 고분자 기판(Polymer substrate) 이야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필수품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이나 TV에는 이제 일상적으로 휘어진(Curved) 디스플레이들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제품들은 이미 휘어놓기만 했지 사용자가 임의로 구부리거나 모양을 바꿀 수 없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진성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판부터 구성 소재들이 모두 유연소재를 사용하여 마음대로 모양을 바꿀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기술적 요구사항에 맞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기판 후보로 유력한 것이 바로 지금 소개해 드릴 고분자 기판(Polymer substrate)입니다. 고분자는 별개 아니다 코카콜라 패트병이 바로 고분자고분자.. 이름만 들어도 복분자가 생각나는.. 아닙니다. 죄송합니다. 사실 고분자라고 하면 일반 ..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4. 19. 10. 플렉서블 스마트폰 - 궁극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도전 궁극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도전 갤럭시 라운드(Galaxy Round)를 기억하시는 분들 혹시 계신가요? 2013년 10월 10일에 출시된 아마 비교적 많은 대중들이 기억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한 최초의 스마트폰이지 않을 까 싶습니다.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가 굴곡져 있었으므로 이름도 갤럭시 라운드라 명명했습니다. 같은 시기에 엘지에서 발표된 플렉서블 기판을 스마트폰인 엘지 G플렉스(LG G-PLEX)가 있었으며 갤럭시 라운드보다 살짝늦은 11월 12일에 출시되었습니다. 사실 기판재료 입장에서는 휘어지는 재료들은 모두 플렉서블 기판이라 부르지만 당시에 완성된 소자는 유저 마음대로 휘지 못하기 때문에 커브드(Curved) 스마트폰이라 명명되어 불러졌습니다. 그 이후 빠르게 플렉서블 스마트폰들이..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8. 4. 18. 4. 알칼리 프리 글래스(Alkali-free Glass) 이야기 비싸지만 제 값하는 알칼리 프리 글래스.사실 알칼리 프리 글래스(Alkali-free glass) 혹은 무알칼리(Non-Alkali glass)는 특정 글래스의 이름이라기 보다 넓은 범위의 카테고리에 가깝습니다. 물론 이 점은 소다라임 글래스도 마찬가지입니다. 글래스의 구성성분중에 알칼리금속 원소인 1족 금속산화물이 첨가되지 않은 글래스 종류를 알칼리 프리 글래스라고 합니다. 기판이 가져야할 특성들이 고루 우수하기 때문에 기판재료로 아주 훌륭하지만 가격이 소다라임 글래스에 비하여 5~10배나 비싼 최대 단점이 있습니다. 충격과 열, 그리고 열팽창특성까지 우수한 기판재료.알칼리 프리 글래스의 가장 큰 특징은 비싸다는게 가장 큰 특징입니다. 같은 기판 소재로 사용되는 소다라임 글래스에 비해 2배도 3배도 아..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3. 28. 3. 소다라임 글래스(Soda-lime Glass) 이야기 싸고 흔하며 투명한 기판 재료 소다라임 글래스. 우리는 일반적으로 기판(Substrate) 소재라고 하면 글래스를 떠올리시는 분들이 아마 대다수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 제품으로 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소자들이 글래스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가정용 대형 LCD TV 부터 소형 스마트 시계까지 글래스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들이 드뭅니다. 그러나 글래스도 다 같은 글래스가 아닙니다. 글래스의 조성와 생산 공정에 따라 굉장히 많은 종류의 글래스가 존재합니다. 그 중 가장 흔하고 가장 대표적인 소다라임 글래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열에 약하고 충격에도 약한 그 이름 소다라임.. 소다라임 글래스(Soda-lime Glass). 이름이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종사자들..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3. 27. 2. OLED 기판(Substrate) 이야기 땅이 좋아야 농사도 잘된다.비옥한 토지위에 농사가 잘되듯, OLED를 비롯한 LCD, 반도체 등 다양한 전자전기 제품들도 기판 특성이 우수해야 좋은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분자구조가 어떻고 소자구조가 어떻게 되느냐를 따지기 이전에 기판을 어떠한 재료를 사용해야하는지, 그리고 이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광학적, 열적 특성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야지만 이 기판 위에 만들어질 OLED를 어떠한 공정들을 사용해서 제작할 수 있을지 부터 완성된 제품의 특성까지도 기판이 결정합니다. OLED의 기판에 사용될 기판의 요구 특성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기판 스펙 요구사항(Substrate Requirements) OLED의 기판으로 사용되려면 다양한 특성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야 완성품의 가격, 수명, ..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3. 26. 이전 1 다음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