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몰레드7 42. 갤럭시S11에 도입될 소재로 본 OLED 재료 국산화 현황 삼성 갤럭시의 아몰레드는 매년 업그레이드 된다. 'M'에 울고웃는 기업들 : 유튜브로 보기 M9, M10. 뭐야 이게?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이름일 것이고, 사실 알 이유도 없습니다. 그러나 OLED 업계에서는 이 'M' 때문에 울고 웃고, 회사의 미래가 걸리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완전히 OLED의 문외한인 대다수의 일반인들을 기준으로 작성해보려 합니다. 최근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소재에 관하여 관심이 높아진 상태이고, 이에 따라 OLED 소재의 국산화 수준에 대해서도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OLED는 일반소비자들이 이해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기술용어, 원리 상의 장벽이 있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의 관심에 비해 깊게 알기 어려운 분야이기도 합니다...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9. 8. 29. 2019년도 2분기 샤오미 반값 폴더블폰 출시한다 보급형 폴더블 시대 열리나...샤오미'반값' 폴더블폰 2Q출시 - 서울경제 권경원 기자 *기사원문 샤오미 폴더블폰 999달러...갤럭시 폴드의 절반화웨이도 1~2년 내 100만원 대 폴더블폰 양산 계획 기사내용 요약 - 샤오미의 999달러(약113만원) 폴더블폰 출시계획 공개샤오미는 2019년 2분기에 인폴딩, 아웃폴딩도 아닌 더블폴딩 방식의 폴더블폰 출시 예정 가칭은 '미플렉스' 혹은 '미폴드'접었을 때 6.5인치 펼쳤을 때 10인치 크기 가격적인 부분에서 갤럭시 폴드와 화웨이의 메이트X에 비해 강점 - 저가로 출시가 가능한 이유각 회사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공급처 삼성전자 : 삼성디스플레이 화웨이 : BOE 샤오미 : 비저녹스(Visionox Technology)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떨어지는 패널회사에.. OLED 이야기/OLED 뉴스들 2019. 3. 21. 26. 형광과 인광의 에너지 전이 (1) - 포스터 에너지전이(Forster energy transfer) 형광과 인광에 대해 잘모르신다면 아래 이전 포스팅을 먼저 보고오시길 추천합니다. 형광과 인광(1) - 형광편[각주:1] 형광과 인광(2) - 인광편[각주:2] '마음의 전달은 눈빛으로' 포스터 에너지 전이 OLED는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한가지 유기물만이 아닌 다양한 기능에 특화된 유기물들을 쌓아올려 적절한 역할을 부여합니다. 이를 OLED의 다층구조(Multi layer)라고 하며 현재의 모든 OLED는 이 다층구조를 기반으로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다층구조와 함께 OLED 소자구조의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도핑(Doping)입니다. 여러 유기층 중 발광만을 위한 유기층을 발광층(Emission layer)라고 하며, 도핑은 이 발광층에 두가지 재료 이상을 동시에 섞여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도핑..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5. 17. 3. 아몰레드 번인에 대해 알아보자!! (2) - 현상 시작부터 번인현상인줄 알고 조금 섬뜩하셧죠?? 인위적인 색조절로 번인현상과 동일한 현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하면 삼원색 중 청색(blue) 소자의 수명이 다른색인 적색, 녹색에 비하여 확연히 떨어집니다. 그렇다보니 백색을 표현해야하는 화면이 청색비율이 줄어들면서 색이 변해보이고 흔히 오줌색이라 불리는 누리끼리한 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사진2.는 인위적으로 만든 번인현상입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청색의 비율만 줄이면 번인현상과 같은 현상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아몰레드의 번인은 거의 대부분 청색의 밝기저하에 의해 일어나게 됩니다.(물론 특정색만 사용하는 옥외 광고용이나 특정 조건에서는 다를 수 있음.) 그렇다면, 왜 왜 아몰레드는 청색의 밝기만 즉,..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7. 5. 21. 2. 아몰레드 번인에 대해 알아보자!! (1) - 정의 번인!? Burn in!? 뭘 태우는거냐 대체 !!! 번인.. 말만들어도 무서운 그 번인. 번인은 삼성에서 처음 아몰레드가 적용된 폰을 출시한 이후로 지금까지 아몰레드의 가장 큰 약점으로 지목되고 대중들에게 계속 언급될 정도로 가장 큰 관심거리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당연히 애지중지하는 자신의 폰화면에 애니팡점수와 자주쓰는 아이콘들 모양이 이쁘게도 화면에 박혀버리니 이슈거리가 안될래야 안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물론 아몰레드의 심각한 문제임에는 틀림없으나 이 번인현상에 대해 인터넷에서는 상당히 잘못알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조금은 정리를 해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유기물 기반의 OLED같은 디스플레이는 절대로 이 번인현상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수많은 전자제품들에 아몰레드가 ..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7. 5. 21. 1. 아몰레드 VS 레티나 아몰레드 대 레티나 즉, OLED 대 LCD라는 주제와 거의 일맥상통하지만 약간은 의미가 다릅니다. 아몰레드와 레티나 모두 특정 회사들이 마케팅용으로 붙여놓은 상품이름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 주제는 제가 일년전에 포스팅했던 주제인데 그 때까지만 해도 아몰레드와 레티나의 대결이 이목을 끌기에 충분한 이슈였습니다. 그런데 불과 1년이 지난 지금 애플의 아이폰8이 아몰레드 즉, AMOLED 패널을 적용하기로 결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아몰레드와 레티나의 대결은 아몰레드의 TKO승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조금은 의미가 퇴색된 이슈 주제이지만 그래도 궁금하신 분들이 분명 조금은 계시기 때문에 이전 블로그 글에서 살짝 현재 상태에 맞게 수정하여 글을 올려보겠습니다. 아몰레드와 레티나 현재 인터넷에서 끊이지 않는 전쟁을..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7. 5. 21. 3. OLED란?? (1) - 정의 지난번 #1, 2번 포스팅에서 디스플레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고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인 LCD와 OLED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OLED의 모든것이라는 거창한 타이틀을 달게된 이 블로그에서 다루게될 OLED가 과연 무엇을 말하는 것인데 애플도 새 아이폰에 OLED를 적용하려 하는것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물 빛 뭐가나오는 다이오드' 그렇습니다. OLED의 약자를 풀어보면 위와 같습니다. 이해 쏙쏙들이 잘되게 이름을 기가막히게 지어놨죠?? 유기물에서 빛인지 뭔지가 나오는 다이오드가 OLED입니다. 그런 쉬운 OLED라는 이름을 가진 이 장치의 인지도가 어느정도인지 실생활의 예시를 통해 알아보..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5.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