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120 iLED란?? 한국정부 주도 디스플레이 글로벌 시장 1위 탈환 계획 "중국에 뺏긴 디스플레이 1위 탈환...삼성LG등 65조 투자" - 원문링크 - 총 정리 및 제 생각은 마지막에 정리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가 중국에 빼앗긴 세계시장 1위 탈환목표로 65조 투입 - 2027년까지 글로벌 점유율 50%까지 확보. - 기술격차 5년 이상 확대. - 소부장 자급도 80% 확보. - 정부에서 1조원의 연구개발비 투입. - 업계(?)에서는 생산라인 증설, 연구개발에 65조원 투자. - 세제, 정책금융 지원, 인프라, 규제 개선을 통해 65조원 이상의 민간투자를 정책적으로 지원. - 무기발광 디스플레이(iLED) 기술 선점을 위한 대규모 정부 지원 추진. - iLED 생산 기반 마련을 위한 9천 500억원의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추진. - 산학연 i.. OLED 이야기/OLED 뉴스들 2023. 5. 18. 국산화 0% OLED 소재 FMM 시장에 도전하는 한화솔루션 "FMM 시장 뛰어든 한화솔루션, 고객사 확보는 아직" - 원문링크 - 총 정리 및 제 생각은 마지막에 정리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 한화솔루션은 올해말까지 OLED FMM 신공장 준공 발표 - 현재는 고객사가 없는 상태. - 한화솔루션의 FMM 방식은 전주도금 방식. - 양산성 검증은 되지 않음. - 한화솔루션은 더블유오에스(WOS)를 인수하여 FMM 시장에 들어옴 - 2021년 600억을 투자하여 더블유오에스(WOS) 지분 100%를 인수함. - WOS는 웨이브일렉트로닉(WE)의 OLED 사업부에서 물적분할로 분리되었던 회사. - 업계에선 FMM 사업 전망 낮게 평가 - FMM 판로 확보의 지속적 실패. - 사실상 삼성, LG, 중국 업체들이 도입을 해야하나 FMM 교체시 발생하는 리스크 문제로 회.. OLED 이야기/OLED 뉴스들 2023. 5. 17. 중국 OLED 재료는 거의 도용이다? 특허침해 현실 "중국 후발 패널사들, OLED 발광재료 특허침해 횡행" - 원문링크 - 총 정리 및 제 생각은 마지막에 정리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 중국 패널업체들, 재료 무단도용 심각 - 국내 외 유기재료 전문업체들의 샘플 레시피를 가져다가 자국에서 생산하는 행태를 보임 - 중국내 소비 제품에는 소송을 해도 법적 구제를 받을 방법이 없음. 정리하면.. 해당 기사는 유료기사라서 전문을 읽을 수는 없습니다만 개인적으로 알고있는 내용들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중국은 저작권에 대한 개념이 매우 낮은 나라로, 중국 자국 내 회사가 아니면 특허에 대한 권리를 인정받기 어려운 나라입니다. 이는 상표, 디자인, 브랜드도 예외는 아닙니다. 특히 OLED 발광재료는 리버스 엔지니어링이라고 해서 소량의 재료 샘플을 가져다가 광화학적.. OLED 이야기/OLED 뉴스들 2023. 5. 11. 아이폰 15에 적용되는 최신 OLED M12 재료 세트란!? "삼성디스플레이, 아이폰15에도 OLED 재료세트 M12 적용 유력" - 원문링크 - 총 정리 및 제 생각은 마지막에 정리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 아이폰 15 4가지 모든 기종에 M12 재료세트 적용. - M12는 지난해 처음 적용된 OLED 패널 재료 세트 - 아이폰 14의 상위 라인업 2종에만 적용되었던 최신 재료세트 - 올 하반기 삼성 폴더블폰에도 M12 적용 예정 - M12 시리즈의 M은 OLED의 재료구성을 말함. - OLED의 여러 발광체, 전하 수송재료 등의 조합을 말함 - M13 재료세트도 개발되었지만, 이번 아이폰 15에는 적용하지 않을 것 - 과거 애플은 자체 재료세트인 LT를 사용했으나 지금은 삼성의 M 시리즈를 적용. - 아이폰X, 아이폰XS에는 자체 재료세트인 LT를 사용 - .. OLED 이야기/OLED 뉴스들 2023. 5. 9. UPC 패널 원리 - 언더 패널 or 디스플레이 카메라에 대하여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건 어떻게 만들까요? 세상에는 많은 기술들이 있습니다. 대놓고 목적을 가지고 개발하여 완성된 기술이 있는 반면, 페니실린 같이 우연하게 실수로 발견하게된 기술들도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기술은 철저히 목적을 가지고 개발한 기술로, 과거 제가 OLED 철자공부부터 하던 학생시절에는 가히 꿈만 같던 기술이고, 세상에 등장하면 업계의 판도를 완전히 뒤집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한 기술 중 하나지만, 상상속의 기술인 것만 같던 기술이 막상 등장했는데도 음.. 완성도 때문인지, 제한된 모델에 적용되어 그런지 제 어린 맘에 기..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3. 3. 28. OLED의 광추출, LCD의 광조절에 관한 이야기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빛을 다루는 장치들의 이야기 오늘은 항상 좋은 댓글 달아주시는 구독자님이신 tkd님께서 (댓글 아이디가 전체로 나오질 않네요..) 요청하신 디스플레이 광학기술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어쩌다 보니 지난 시간 가시광에 관한 글과 함께 빛에 관한 글을 연달아 쓰게 되었습니다. 혹여나 관심 없는 분야더라도 쉽게 읽어내려갈 수 있도록 어렵지 않게 구성되어 있으니 구독자분들께서 끝까지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빛은 이상한 존재입니다. 파동과 입자의 성질 사이를 오가는 빛의 이중성은 너무나 유명하고, 질량이 없는데도 광자..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3. 3. 9. 마이크로 OLED(OLEDoS)를 위해 뭉친 메타,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알 수 없는 조합의 세 회사가 뭉쳤다. 각 분야에서 최고를 달리는 세 회사가 뭉쳤습니다. 페이스북에서 이름을 바꾼 메타(Meta), 우리나라 반도체의 양대산맥 SK하이닉스, OLED의 양대산맥 LG디스플레이. 일명 MSG 동맹이라는 거대한 탄생했지만, 단순하게 보기에는 세 회사가 동시에 무엇을 하려는 것인지 약간은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 조합이기도 합니다. 이 세 회사는 어떠한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모였을까요? SK하이닉스와 LG디스플레이는 디바이스를 생산하는 업체이고, 메타는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3. 2. 23. 투명 OLED 원리와 구조 그리고 활용방안에 대하여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물량으로 따라오는 중국, 신기술로 멀어지려는 한국 우리나라의 압도적이었던 OLED 점유율이 이제 올해 혹은 내년 쯤 중국에 역전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아직 중국은 저가형 OLED 패널을 주로 생산하는데 반하여 삼성은 프리미엄 모바일 제품에 탑재되는 패널은 대부분을 맡고 있고, 나머지 물량 일부를 LG와 중국 업체에서 맡고 있으며, 대형 TV 제품에서는 LG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기는 합니다. 이 모습..어디선가 많이 본 모습 아닌가요? 바로 LCD 때와 똑같은 전철을 밟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OLED에..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3. 2. 22. 아이폰 14 플리커링 문제, 왜 유독 14만 이럴까? 원인과 해결책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형광등처럼 깜빡이는 스마트폰? 혹시 아이폰 14로 바꾸시고 이상하게 눈피로를 느끼시는 분들이 계시나요? 최근 제 블로그에 방문하시는 분들 중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아이폰 14 플리커링' 을 검색하여 방문하시고 계시고 있어서 '왜 사람들이 갑자기 이러지?' 라고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바로 전작인 아이폰 13 까지도 플리커링은 큰 이슈가 되지 않는 기종이었기 때문에 아이폰 14에서 갑자기 플리커링 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를 것이라고 전혀 예상하지 못했고, 실제로도 대다수의 구매자 분들도 ..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3. 2. 15. 하프컷 수평, 풀컷 수직이란?? OLED가 LCD에 비해 대면적 생산을 못하는 이유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는 거거익선(巨巨益善) 거거익선, TV는 크면 클수록 좋다는 신조어입니다. 특히나 큰 화면일수록 많은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TV나 스마트폰의 경우에 딱 들어맞는 용어이기도 합니다. 그러면 꼭 시청할 때에만 화면이 클수록 좋을까요? 아닙니다.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도 원장이라 불리는 유리기판이 크면 클수록 단 한 번의 공정에서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의 수가 많아지니 생산 측면에서도 큰 유리기판의 사용은 필수적입니다.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는 유리기판의 크기에 따라 세대로 나뉘어 부릅니다. 제목에서 언급..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3. 2. 13. LG 3세대 OLED TV, MLA 벌써 다음 세대 기술이? MLA 2편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LG가 아직 공개하지 않은 2세대 MLA 지난 MLA 1편 리뷰에서 밝힌대로, LG전자는 전세대 대비 밝기 60%, 시야각 30%, 반사율 50% 향상된 3세대 OLED TV를 출시했습니다. 이러한 압도적인 성능 향상은 MLA(Micro Lens Array)라는 기술을 사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것을 지난 시간에 다루어 보았습니다. 이 MLA라는 기술은 LG가 완전히 새로 만든 기술이 아니고, OLED의 태동기라 할 수 있는 2006년 OLED 초창기부터 여러 대학과 기관에서 연구하고 개발해 온 광 추출 기술 중 ..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3. 1. 26. 청색 인광 재료 원리 2편 : UDC특허에서 보는 힌트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청색인광 재료 연구도 벌써 15년째.. 이제는 나와야 하지 않을까!? 지난 편은 청색인광재료가 가져야 할 기본 조건들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고, 이번 편은 이렇게 개발이 어려운 청색인광 재료의 돌파구를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청색인광 재료 1편은 관련 학과 학부생 수준 이상을 타깃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 독자분들에게는 조금 어려운 내용이었을 겁니다. 이번 편도 1편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독자분들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약간 어려울 수 있으나 최대한 쉬운 표현으로 기술을 소개해드리고자 난..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2. 12. 15. 이전 1 2 3 4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