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120 OLED 쉽게 이해하기 2편. OLED 원리를 찾아서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전자 입장에서 본 OLED 여행기 전자(Electron)라는 단어. 익숙하십니까? 개개인마다 이 단어가 익숙한 정도와 상관없이 우리는 전자에 둘러싸여 살고, 전자의 힘에 많은 것을 의존하면서 살아갑니다. 이것은 전자제품에 둘러싸여 사는 현대인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자의 움직임을 이용하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먼 옛날 사람들, 동물들, 심지어 돌멩이 하나까지 전자의 힘이 미치지 않는 곳은 없습니다. 전자 자체의 존재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 전자의 움직임에 유도되는 자기장 그리고 그 전기장과 자기장의..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2. 11. 11. LG디스플레이, 2인치 정도 쭉 늘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공개(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LGD, 12인치-14인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공개" - 원문링크 기사내용 요약 - LG디스플레이가 12인치 화면이 14인치까지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공개 - 스트레처블은 폴더블 처럼 접기는 물론, 늘리기, 비틀기 등 자유로운 형태 변형 가능. - 시제품은 '스트레처블 국책과제 1단계 성과공유회'에서 공개. - 12인치 > 14인치로 늘어날 수 있음. (연신율 20%, 늘어나는 비율) - 화소밀도 100PPI(Pixels Per Inch) 지원 - 발광원은 40마이크로미터(㎛) 이하 LED 사용. - 신축성은 기판 소재와 배선 구조가 핵심 - 콘택트렌즈에 사용하는 특수 실리콘 소재의 기판 사용. - 특수 실리콘 소재는 신축성과 유연성이 우수. - 배선구조도 직선형태가 아닌 S자 스프링 형태.. OLED 이야기/OLED 뉴스들 2022. 11. 11. LG,구부리고 펴는 벤더블 게이밍 모니터 출시, 올레드 TV Flex "LG전자, 42인치 벤더블 올레드 TV '플렉스(FLEX)' 최초 공개" - 원문링크 기사내용 요약 - LG 화면을 구부렸다 펴는 벤더블(Bendable) 게이밍 올레드 TV(42LX3QKNA) 출시 - 폼팩터(Formfactor, 형태변형) 혁신 신제품 - 화면을 구부렸다가 펼 수 있는 가변형 TV - MZ세대의 신조어 Flex와 구부리는 Flexible의 중의적 네이밍. - 게이밍 용으로 최적화 - 최대 900R(반지름 900mm의 휜 정도) 범위내에서 20단계로 휨 조절. - 앉은 자세에서 화면전체를 보거나 몰입감이 중요한 게이밍 환경에서 최적 - 위아래 기울기와 14센치미터에 달하는 높낮이 조절도 지원 - 내장마이크를 지원하고 게임 장르에 따라 설정을 불러오는 프리셋(preset)도 지원 - 스.. OLED 이야기/OLED 뉴스들 2022. 11. 9.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TV 23년부터 본격적으로 생산한다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본격 성장세...대형시장 공략 속도" - 원문링크 기사내용 요약 - 삼성디스플레이, 내년(23년)부터 QD-OLED를 통한 본격적인 시장 공략 - 현재는 LCD 기반 QLED TV가 주력. - QD-OLED TV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 2025년까지 13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 발표. - QD-OLED TV는 이미 출시하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 소니, 삼성전자에 QD-OLED 패널을 납품하고 있으나 소량임. - 연간 200만대 수준 규모이고, 패널 크기도 55인치와 65인치 두가지로 제한. - 22년 초에 출시했고, 고객사(TV세트기업)과 소비자로부터 호평. - 그 외 - 문제는 TV 시장 침체. - 경제문제로 인한 대형 TV 수요 둔화. - 대형 LCD 부분에.. OLED 이야기/OLED 뉴스들 2022. 11. 7. 거실 TV 구매 결정장애 박살내기. 현실적 TV 구매가이드(기본편) 유튜브 영상으로 보기 - 1편 사이즈 정하는 법 (클릭해주세요) TV를 사는 사람들은 세가지 부류가 있습니다. 1. 매장가서 설명듣고 바로 사는 사람 2. 잘은 모르지만 일단 다 따져보고 해외직구로 싸게 사는 사람 3. 큰거 사는 사람 1인가구가 많아지고, 모바일로 볼 수 있는 것들이 많아지는 요즘 시대에 TV는 더 이상 집에 무조건 있어야 하는 제품은 아닙니다. 주변을 보아도 아예 TV 자체를 안들여 놓는 집도 있고, 있어도 거의 보지 않는 경우도 있죠. 그래도 여전히 TV는 집에 들어가면 가장 눈에 띄는 제품이고, 많은 사람들은 TV에 상당시간 의존하면서 살아갑니다. 저는 디스플레이 업계에 종사하고 이런 블로그도 운영하는 탓에 주변에서 '뭐 사면 되냐?' 하고 질문을 종종 받을 때가 있습니다. 처음에.. 교양과학 이야기/개인적인 관심사 2022. 10. 20. 52. 아이패드, 맥북은 OLED 왜 안쓰지? 아이패드, 맥북은 언제 OLED를 사용할까? 이제 OLED 패널을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거의 없을 겁니다. 적어도 우리나라 기준에서는 전량 OLED를 탑재하고 있는 갤럭시 점유율이 높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OLED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인구비율이 상당히 높습니다. 게다가 아이폰도 아이폰12 부터는 최하위 모델인 미니조차 모두 OLED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방향은 완전히 OLED로 전환된 분위기이고, 이미 사용자 경험에서 LCD를 압도하기 때문에 프리미엄 제품군에서 LCD를 채택하는 방향으로 가는 일은 생각하기 힘들게 되었습니다. 2021년 기준으로 스마트폰의 OLED 탑재율은 42%에 달하며, 22년에는 44%로 탑재율이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체감 상으로는 거의 100%에..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10. 14. 51. LTPO OLED란?? - 왜 애플 최상위 제품에만 들어갈까? 애플 팬들은 이미 익숙한 LTPO... 아닌가?? 아이폰에 노치가 있던 말던, 충전기를 주던 말던, 소비자들은 별로 신경을 안 씁니다. 아이폰은 이제 믿음의 영역으로 들어왔고 스마트폰 교체주기가 되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신제품을 구매합니다. 충전기 안준다고 안 살 것도 아니고, 충전기 두 개 준다고 더 많이 팔릴 것도 아닙니다. 눈에 보이는 이러한 제품 구성의 변화도 신경을 안 쓰는데 일반 소비자분들이 스마트폰 화면에 어떤 기술이 적용됐는지는 더더욱 신경을 안 쓰겠죠? 오버 테크놀로지에 가까운 최신 기술이고 제조비용이 매우 큰 비싼 기술이지만, 당장 눈에 띄지는 않는 LTPO 기술. 과연 어떤 기술이길래 애플 제품에서도 LTPO가 들어가는 급과 그렇지 않은 제품으로 급 나누기를 하고 있는 것일까요? 위..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9. 21. 50. 청색 인광 도판트란?? - 왜 아직도 나오지 않을까 마지막 남은 숙제, 청색 인광 발광체 청색 인광이라는 단어를 검색해서 이 글을 보고 있는 사람들은 적어도 디스플레이를 전공하거나, 업으로 삼거나 혹은 현직 대학생 그리고 관련 기술 정보를 얻고자 하는 투자자분들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전문 분야의 글이기도 하니 글의 난이도를 조절하기 조금 어렵기도 한데 할 수 있는 한 최대한 난이도를 낮추어서 이야기를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OLED는 상당히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이 엃혀있고, 이 기술들의 관계들을 입체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복합기술입니다. 따라서 이 글에 언급되는 단어나 용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되시면 페이지 상단의 블로그 내 검색을 통해서 조금 이해의 폭을 넓히시는 것을 먼저 추천드립니다. OLED를 정말 쉽게 큰 틀에서 이해해보자면 기판(양극)과 ..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9. 14. 49. UPC? UDC? 카메라가 없는 화면을 위한 필수 재료 CPM!!(Cathode Patterning Material) UDC 구현을 위한 필수적인 재료 - CPM(Cathode Patterning Material) UDC?? UPC?? 영어에서 매우 흔하게 여러 의미로 사용되는 이 약자들은 적어도 OLED 분야에서는 가장 최신 기술 중 하나이자 디스플레이의 기능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 그리고 디자인적인 면에서 완벽함을 가져다 줄 기술입니다. 저는 2019년에 UDC(Under Display Camera) 혹은 삼성에서 부르는 용어인 UPC(Under Panel Camera)가 곧 샤오미를 통해 상용화 된다고 포스팅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포스팅을 한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갤럭시 폴드에 이 UPC가 적용되어 나오고 있으니.. 참 세월도 빠르고 기술 발전도 빠른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이 세상에 등장한 이후로 디스플레이는 위 ..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9. 13. 46. 'OLED 기술유출' 7년간 100여명 중국으로 이직 오늘자 OLED 기사를 보니 OLED 기술 유출에 관한 뉴스가 올라왔더군요. 골자는 중국 BOE로 삼성과 LG 디스플레이 인력들이 대거 이직하여 주요 기술이 유출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https://www.inews24.com/view/1493453 *출처 inews 장유미 기자 국가정보원과 산업통상자원부가 2016년부터 5년 반 동안 국내 디스플레이 기술이 유출되려다 적발한 사례가 총 17건이라고 합니다. 그 중 국가안보와 경제에 영향을 미칠 만큼 큰 핵심기술도 5건이나 된다고 하죠 사실 삼성 디스플레이과 LG 디스플레이 같이 규모가 큰 대기업에서의 인재 유출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고 어쩌면 더 큰 문제는 장비회사들 같이 규모가 비교적 작은 회사들에서 발생하는 기술유출을 일일이 막을 수 가 없다는 것입니..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6. 23. 45. 2022년,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 키워드는? 오랜 시간 블로그를 비웠습니다. 2019년 9월이 디스플레이 관련 마지막 포스팅이었더군요. 약 3년이 흐른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개인적인 관심이 적었던 터라 많은 일들을 놓치고 있었습니다. 개인적인 감도 잡아볼 겸 현재 일어나고 있는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분위기를 최근 올라오는 기사들을 통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이젠 진정한 OLED 천하 제가 블로그를 처음 열고 OLED 이야기를 했을 때가 2017년도였습니다. 당시엔 LCD가 주류였고, OLED 이야기를 하는 거 자체가 굉장히 마이너 한 주제를 다루는 블로그였습니다. 그러나 5년이 지난 지금, 최근 6개월치 주요 디스플레이 기사 중 LCD에 대한 기사는 단 한건도 없다는 것에 꽤나 놀랐습니다. OLED가 언제 디스플레이 산..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6. 21. 16. OLED 박막 봉지공정 원리(TFE mechanism) 이야기 (4) - 계면 접착력(interlayer adhesion) 일단 붙어있어야 뭐라도 막는다! 지난 시간까지 OLED의 효과적인 박막 봉지(TFE, Thin Film Encapsulation)을 위해서 다중 다이아드(dyad)를 구성하여 수분과 산소의 침투를 막는 다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중 다이아드를 구성하면 수분과 산소의 침투 경로를 길어지게 만들어서 지체시간(Lag time)을 늘릴 수 있으므로 OLED가 장시간 안정한 특성을 보이는데 매우 유리해집니다. 다중 다이아드(Multi dyad)의 측면 현미경 사진 그러나! 이 다중 다이아드의 문제점은 바로 성질이 전혀다른 유기/무기층들이 교차로 반복적으로 쌓인다는 것입니다. '왜이게 문제야?' 라고 생각하실수도 있습니다만 조금만 더 생각을 해봅시다. 유기물과 무기물은 전혀 성질이 다르고 이 두 재료가 안정하게 ..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9. 9. 19.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