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 팬들은 이미 익숙한 LTPO... 아닌가??
아이폰에 노치가 있던 말던, 충전기를 주던 말던, 소비자들은 별로 신경을 안 씁니다. 아이폰은 이제 믿음의 영역으로 들어왔고 스마트폰 교체주기가 되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신제품을 구매합니다.
충전기 안준다고 안 살 것도 아니고, 충전기 두 개 준다고 더 많이 팔릴 것도 아닙니다. 눈에 보이는 이러한 제품 구성의 변화도 신경을 안 쓰는데 일반 소비자분들이 스마트폰 화면에 어떤 기술이 적용됐는지는 더더욱 신경을 안 쓰겠죠?
오버 테크놀로지에 가까운 최신 기술이고 제조비용이 매우 큰 비싼 기술이지만, 당장 눈에 띄지는 않는 LTPO 기술. 과연 어떤 기술이길래 애플 제품에서도 LTPO가 들어가는 급과 그렇지 않은 제품으로 급 나누기를 하고 있는 것일까요?

위 그림에서 보는바와 같이 애플 공식 홈페이지에서 공개된 애플워치 7의 수많은 스펙 중에 몇 개 없는 굵은 글씨체로 강조된 것이 바로 '레티나 LTPO OLED 디스플레이'입니다.
레티나는 애플이 아이폰 4에서부터 육안으로 픽셀을 구분할 수 없는 고해상도 스마트폰 화면에 자기들끼리 붙이는 프리미엄 옵션 명칭이었으나 이제는 어느 제품이나 픽셀을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는 시대가 된 이후에도 붙이는 명칭으로 남은 것을 보면 그때 네이밍 센스의 파급력이 참 컸었나 봅니다. (실제로 당시 엄청난 이슈였다!)
그리고는 OLED도 뭔지 알겠고(모르시는 분들은 제 블로그 정독 추천!) 디스플레이도 알겠으니 남은 건 LTPO니 LTPO만 알면 왜 애플이 스펙에 이 레티나 LTPO OLED를 궁서체로 강조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겠죠?
그럼 LTPO란 무엇인가??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저온 다결정 산화물)의 약자로 비전공자들이 전혀 알 수 없는 단어의 나열을 보여줍니다. 걱정마시고 이번 글에서는 기술 1% 섞고 99% 예시로 LTPO란 무엇인지 이야기해보겠습니다.
LTPO는 반도체인 TFT(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기술의 종류입니다. TFT는 우리가 보는 화면의 픽셀 한개를 켜고 끄는 스위치 역할을 합니다.
조금 이해를 쉽게 하려면 스마트폰 화면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부터 확대해 봐야 합니다.

스마트폰 화면은 이렇듯 적색, 녹색, 청색(RGB) 삼원색의 서브픽셀(Sub-pixel)이 한 세트가 되어 한 개의 픽셀을 이룹니다.
(제조회사, 제품마다 픽셀구조가 다르고 서브픽셀 개수도 다르지만 원리적으로는 RGB가 한 세트가 된다)
이 세개의 서브픽셀이 모두 켜있으면 백색(white R255, G255, B255 *모니터상 보이는 색의 밝기를 255개 레벨로 나누어서 표현하고 세 가지 색 모두 255가 되면 1:1:1 이므로 백색이 된다.)
만약 R255, G100, B100 비율의 밝기로 픽셀들이 구성되어 있으면 이렇게 이쁜 분홍색을 띄게 됩니다.
그도 그럴것이 적색이 레벨 255 만땅이고, 나머지 색 비율들이 줄어들었으니 적색계열의 색이 되는 것은 조금만 생각해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어쨌든 TFT는 이러한 서브픽셀 하나하나의 스위치(swich) 역할을 하며 온오프는 물론 밝기까지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마치 가습기의 원터치 다이얼 같은 역할을 하는 녀석임을 알 수 있죠.
이 TFT는 만드는 방법, 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어지게 됩니다. 그중에 LTPO와 관련이 있고 실제 적용된 TFT는
- LTPS TFT (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저온 다결정 실리콘)
- Oxide TFT
위 두가지 TFT로 위 두 가지 LTPO는 이 두 가지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TFT입니다.
LTPS TFT는 반도체 내부에서 흐르는 전자의 이동도가 매우 빠른 특징을 가진 반도체입니다. 전자가 빠르게 이동하면 할수록 TFT 내부에서 이동해 나갈 수 있으므로 더 작은 TFT를 만들 수 있게 되며 이는 같은 면적에 훨씬 더 많은 픽셀을 표현해야 하는 고해상도 제품을 만들 수 있게 합니다.
Oxide TFT의 특징은 스위치 역할을 하면서 생기는 전류의 누설을 최대한으로 막아준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대부분의 화면은 초당 60번 화면이 깜빡이면서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이를 60Hz(헤르츠)라 표현하고 이를 주사율(Refrech Rate)이라고 합니다.
이 이야기는 1번 이미지로 신호를 주고 2번 이미지 신호를 줄때 0.1초의 시간 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0.1초라는 짧은 시간 안에 기존의 TFT들은 TFT안에서 전류가 줄줄 새는 누설전류(Leakage Current)가 크게 발생합니다. 이 사실이 의미하는 것은 아무리 아무런 변화가 없는 사진 같은 이미지를 보더라도 실제로는 계속 초당 60번 새로운 신호를 주는 것이고 이때마다 전기를 잡아먹고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Oxide TFT는 이러한 누설전류가 굉장히 작아서 같은 이미지를 1초 동안 같은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따라서 1초에 60번을 똑같은 신호를 주며 낭비됐던 전력를 1초에 한 번만(1Hz) 신호를 주면 되니 굉장히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애플워치와 같은 스마트워치가 거의 항상 같은 화면을 유지하는 특징을 볼 때 이 Oxide TFT의 누설전류를 막는 특징이 굉장히 잘 들어맞는 것입니다.

LTPO는 이 두가지두 가지 LTPS, Oxide TFT 두 가지를 결합해서 한 개의 TFT로 구현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TFT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애플워치 같은 저전력이 필수인 기기에 필수적인 기술인 것이죠. 스마트폰에도 갤럭시 노트 20에 처음 적용된 이후 애플에서도 아이폰 13 이번에 출시될 아이폰 14까지도 최상위 라인인 프로, 프로맥스에만 적용되었습니다.
최상위 라인에 적용될 수 밖에 없는 것이 두 가지 기술을 합쳐 놓다 보니 굉장히 제조비용이 올라가고 공급량 자체가 많이 않기 때문에 모든 제품에 적용할 수가 없는 것이죠.
결론적으로,
"LTPO는 고해상도, 저전력 둘다 잡는 뛰어난 기술임에 분명하지만 제조비용 문제로 아직은 모든 제품에 적용될 수 없다."
가 되겠습니다.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채널인 남보르의 Allled.TV+ 에서는 LTPO에 관한 등장배경부터 상세한 공정과정까지 LTPO를 자세하게 이해하기 위한 포괄적인 내용을 모두 담은 자료들을 추가적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allled/allledtv/contents/220921213225273hg
LTPO OLED란?? - 등장배경부터 제조공정까지
안녕하세요 남보르입니다. 첫 프리미엄 콘텐츠는 LTPO 이야기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그리고 IT를 모두 어우르는 화두가 바로 LTPO가 아닐까 싶습니다. 디스플레이에 적용된...
contents.premium.naver.com
블로그 인기글
20.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1) - 기본편
제 3세대 OLED의 주인공 TADF의 미래에 대해 알아보자. 지난 시간까지 형광과 인광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발광방식에 있어 OLED의 1세대라 하면 역시나 형광방식 이었고, 2세대는 인광이 대세로 자리잡아 지금의 OLED의 전성기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인광이 몇몇부분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아직도 개선해야할 여지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제 3세대 OLED TADF에 대해 오늘 제대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꺼진 불도 다시 보자. 아껴쓰기의 대명사 TADF!! OLED 엔지니어들은 과연 OLED의 어떤면을 개선하고 싶어할까요. 단연코 수명이라고 말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OLED 업계에서 현직으로 일하고 있는 필자의 경우 아직까지도 번인으로 .....
https://allled.tistory.com
재벌집 막내아들 작전주, 뉴데이터 테크놀로지, 실제모델은 어땠을까?
"재벌집 막내아들이 말한 작전주 실제모델은 솔본" - 원문링크 기사내용 요약 - JTBC 금토일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 8회에 등장하는 작전주, 뉴데이터 테크놀로지 - 실제 모델은 수차례의 인수 합병(M&A)를 거친 새롬기술(현 솔본) - 드라마는 허구이지만, 실제 인물과 사건을 배경으로 해서 몰입감을 높이고 있음. - 새롬기술은 280배 주가상승했던 작전주 - 1999년 8월 23,000원에 코스닥에 상장했던 새롬기술. - 1999년 10월 1890원까지 하락했던 주가는 2000년 3월 28만 2000원까지 280배 상승. - 최고점은 장중 32만원까지 치솟아 시가총액 3조 7천억에 이르기도 했음. - 새롬기술은 잠시 삼성전자의 시가총액보다 높았음 - 뉴 밀레니엄을 앞두고 새로운 시대의 기술이라는 정보.....
https://allled.tistory.com
19. 형광과 인광 (2) - 인광편
형광(Fluorescence)과 인광(Phosphorescence). 지난번 글에서 우리는 OLED의 주요한 두 발광방식 중 하나인 형광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광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혹자가 현재의 OLED 기술에 있어서 형광과 인광 두가지 발광현상 중 무엇이 더 중요한지 물어본다면, 저는 당연히 인광이 중요하지라고 대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나중에 말씀드리겠습니다만 앞으로의 OLED 기술은 다시금 형광이 중요해지는 흐름으로 갈 수 있지만 현재 양산되는 제품들에 적용되는 발광방식은 인광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어떠한 장점이 있길래 과거에 형광에서 인광으로 넘어 올 수 밖에 없었는지 왜 다시금 형광으로 돌아가려 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인광(Phosphoresc.....
https://allled.tistory.com
아바타2: 물의 길, 안경없는 3D 가능 할까?
"아바타:물의 길 12월 14일 한국서 전 세계 첫 개봉" - 원문링크 기사내용 요약 - 아바타 속편 아바타: 물의 길이 12월 14일 개봉 -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는 14일에 한국 관객을 대상으로 첫 개봉한고 밝힘. - 아바타 2는 1편에서 15년이 지난 판도라 행성이 배경. - 인간에서 완전히 나비족이 된 제이크 설리(샘 워싱턴)과 나비족 네이티리(조 샐다나)와의 가족애와 타부족간의 전투가 주 내용. - 제임스 캐머런 감독이 메가폰, 존 랜도가 프로듀서 - 믿고 보는 제임스 캐머런 감독. 더 말이 필요 없음. - 그 외 - 판도라 행성의 바다가 주 배경이라서 완전히 새로운 영화적 경험을 제공할 예정 정리하면.. 음.. 이 기사의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 뉴스로 할 것인가, 투자 뉴스로 할 것인가, 영화.....
https://allled.tistory.com
48. 마이크로 LED vs 마이크로 OLED (OLEDoS) - 무슨 차이지??
micro LED 그리고 micro OLED LED, OLED, LCD, micro OLED, micro LED, mini LED... 복잡하다.. 전공자인 제가봐도 복잡하고 많고 어렵습니다. 하물며 일반 소비자분들에게 이러한 디테일한 기술적 차이를 어필하기란 더욱 더 쉽지 않습니다. 제 블로그는 OLED를 메인으로 해서 곁가지로 LCD와 LED 기술을 조금~ 소개드린바 있습니다. 앞으로도 최대한 비전공자 시선에서 쉽게 소개드리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마이크로 LED는 표면적으로 이름 그대로 단지 LED를 마이크로미터(㎛) 사이즈로 작게 만드는게 핵심인 기술이지만 마이크로 OLED는 발광체만 유기물을 사용하지 기판, 공정기술 등이 전혀 다른 새로운 디바이스입니다. 마이크로 OLED는 OLEDoS(올레도스,.....
https://allled.tistory.com
PTP 200여개 총 정리, 올해안에 무조건 정리해야하는 ETF 목록
2023년 1월부터 PTP 종목은 10% 과세 확정 지난 11월 21일, PTP(Publicly Traded Parnership) 형태로 되어 있는 ETF, 주식 종목을 미국 국적 외 외국인이 매도할 경우 10%의 세금을 부과한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저도 자산배분 뿐만 아니라 여러 이유에서 원자재 ETF를 포트폴리오에 꼭 적용하던 터라 참.. 당황스러웠습니다. 일단, 22일에 빠르게 해당 기사를 요약해었는데요. https://allled.tistory.com/352 부동산, 원자재 ETF, 무려 10% 세금 폭탄 내년부터 시행한다. "미국 부동산 원자재 투자 비상, 내년부터 200여개 ETF에 세금 폭탄" - 원문링크 기사내용 요약 - 미국정부가 정한 200여개 종목 매도시 10% 세금 원천징수 - 원.....
https://allled.tistory.com
'OLED 이야기 > OLED 이슈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수소 OLED란? 어떻게 수명을 늘릴수 있을까? LG디스플레이의 Ex OLED TV 번인을 막기 위한 중수소 기술 (0) | 2022.11.17 |
---|---|
52. 아이패드, 맥북은 OLED 왜 안쓰지? (0) | 2022.10.14 |
50. 청색 인광 도판트란?? - 왜 아직도 나오지 않을까 (5) | 2022.09.14 |
49. UPC? UDC? 카메라가 없는 화면을 위한 필수 재료 CPM!!(Cathode Patterning Material) (2) | 2022.09.13 |
48. 마이크로 LED vs 마이크로 OLED (OLEDoS) - 무슨 차이지?? (7) | 2022.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