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35 35. 동굴벽화에서 갤럭시 폴드까지 - 디스플레이의 역사(1) 동굴벽화에서 갤럭시 폴드까지 - 시각의 중요성 우리는 언제나, 어디에서나 잠을 자는 시간 외에는 무엇인가를 보고, 응시하며 살아갑니다. 우리의 5감 중 시각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고 5감(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중 하나를 포기해야한다면 시각을 포기하겠다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겁니다. 시각은 인간의 경험과 의사결정, 생명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감각입니다. 하필이면 왜 우리는 시각에 대한 의존성을 높이며 진화해올 수 밖에 없었을 까요? 바로 '빛' 이라는 정보 전달 매개체는 그 범용성이 아주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청각은 소리를 통해 정보를 전달 받지만 소리는 언제나 존재하지 않으며, 방향성이 없고, 속도가 느린 정보 전달 수단입니다. 후각은 소리보다 훨씬 더 느리게 공기상에 화학물질을 통해 ..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9. 9. 6. 34. LED 원리 알아보기 (1) - LED란? 전기로 직접 발광하는 최초의 발명품제목만 보고 '무슨소리야 전구도 전기를 쓰고, 형광등도 있는데?' 라고 발끈하실 분들이 꽤 있으실 겁니다. 그런데 제목의 전제는 전기로 '직접' 발광하는 제품이라는 겁니다. 에디슨이 발명해서 오랜시간 사랑받아왔던 백열전구도 그렇고 형광등도 그렇고 전기에너지를 직접 빛에너지로 바꾸지 않습니다. 기존 조명제품은 빛을 발하지 않고 전기를 통해 열을 발산하고 이 과정에서 나오는 빛을 이용하는 등 한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효율이 높지 않았습니다. 전구는 상당히 큰 저항체인 필라멘트에 전기를 가해주어서 발생한 쥴열(Joule heat)로 인한 흑체복사를 발광에 이용합니다. 그리고 형광등은 전기장을 이용하여 방전 플라즈마를 생성하게 되고 이것을 형광등 유리에 뿌려놓은 형광도료를 자극하..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9. 5. 9. 33. LCD 원리 알아보기 (4) - VA(PVA) IPS TN패널의 차이점-2 VA IPS TN 과연 절대적 강자가 있는 것인가? 여러분은 TN, IPS, VA모드로 구동되는 세가지 LCD TV 중 하나를 공짜로 가질 수 있다면 어떠한 TV를 선택하시겠습니까? 이 세가지가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잘모르면 많이 들어본 IPS를 무조건 선택하지 않을까요? 일반적으로 'TN패널은 무조건 좋지 않아' 'VA는 이미 버려진 기술이야' 'IPS는 LGD느님이 쓰시는 기술이니 완벽해' 뭐 이런 경향이 널리 퍼진 듯한 분위기 입니다. 제 블로그가 OLED 블로그이긴 해도 저 또한 거실은 LCD TV와 사무실과 개인 PC는 언제나 LCD 모니터를 사용하다보니 일상생활에서 LCD에서 절대 자유롭지 못합니다. 그래서 이번회까지 4회에 걸쳐서 LCD에 대해서 다루었고 이 세가지 기술을 한번에 비교하면서 ..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11. 29. 32. LCD 원리 알아보기 (3) - VA(PVA) IPS TN 패널의 차이점-1 LCD가문의 형제들 VA IPS TN 패널들의 차이점을 알아보자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LCD에서의 핵심재료인 액정(Liquid Crystal)과 편광(Polarized light)라는 현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액정이라는 재료와 편광이라는 물리적 현상을 이용하여 LCD라는 제품을 만들어지는데 액정에도 종류가 다양하여 종류에 따른 차이점들이 존재합니다. 가장 초창기에 사용하고 지금도 저가형 LCD에서 주로 사용되는 TN(Twist Nematic) 패널 방식부터 삼성이 줄곧 사용했던 VA(Vertical Align)방식과 LG의 방식으로도 유명한 IPS(In Plane Switching) 까지 차근차근히 이번시간을 포함하여 세번에 걸쳐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일단 일반적으로 TN VA IPS에 대하여 찾아보..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11. 25. 31. LCD 원리 알아보기 (2) - 편광이란?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OLED의 라이벌 LCD에 대해서 알아보자지난 시간 액정(Liquid Crystal)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우리는 액정의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재료로서 응용될 수 있는 포인트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나 지난 포스팅 말미에도 언급했듯이 액정이라는 놈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들만 가지고는 빛을 조절해야하는 디스플레이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습니다. 컬투는 정찬우, 김태균이 함께해야 컬투이고, 다이나믹 듀오는 최자와 개코가 함께 해야 다이나믹 듀오인것 처럼 LCD도 액정과 함께 편광판(Polarizer)이라는 녀석이 함께해야 디스플레이 재료로서 제 구실을 할 수 있습니다. 이 편광판이 바로 편광이라는 현상을 일으키는 소재인데, 편광(Polarized li..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10. 31. 30. LCD 원리 알아보기 (1) - 액정이란?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OLED의 라이벌 LCD에 대해서 알아보자 현재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시장지배력이 가장 큰 제품은 단연코 LCD(Liquid Crystal Display)입니다. OLED 패널을 탑재한 제품들이 많아지고는 있지만 이것은 가격이 비싼 프리미엄 시장에서의 이야기이고 TV, 핸드폰, 가전, 자동차 등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는 그 어디에서도 LCD는 너무나 확고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사진1.시대별 다양한 액정(LCD) 적용 제품들 사실 액정이라고 하면 모두 막연하게 '그 액정화면....' '그....그거 액정' '액정이 액정이지 뭐야!' 라며 왜 액정이라 부르는지 액정이 무엇인지 잘모릅니다. 제가 어렸을적만 하더라도 위 사진1처럼 액정이라하면 계산기나 타이핑을 하면 1초뒤에 화면..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10. 24. 29. 새로운 개념의 TADF 도판트 등장 - 붕소 화합물 (2) 단점편 지난 글은 붕소 화합물 TADF 재료의 장점편이었습니다.29. 새로운 개념의 TADF 도판트 등장 - 붕소 화합물 (1) 장점편 눈부신 장점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단점을 지닌 붕소 화합물 TADF 재료지난 시간에 보론(붕소) TADF 재료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시한번 보론 TADF 재료의 핵심적인 특징을 정리 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보론(붕소, B) TADF 재료의 특징1. 다중공명효과(Multiple resonance effect)를 이용하여 고정된 분자구조에서 HOMO LUMO를 파동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2. 파동적으로 분리된 HOMO LUMO에 의해 비교적 낮은 ΔEst를 갖는다.3. 공간적인 HOMO LUMO 분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HOMO LUMO의 공간적인 중첩이 커져서 진..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10. 18. 28. 새로운 개념의 TADF 도판트 등장 - 붕소 화합물 (1) 장점편 시간이 많거나 TADF에 대한 개념이해가 부족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먼저 보고오시길 추천합니다. 20.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1) - 기본편 21.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2) - 심화편 22.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3) - 심화편2 드디어 기존 TADF의 단점을 개선한 새로운 TADF 구조가 등장하다! 20~22편에서 TADF(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의 개념과 이 개념을 이용한 재료의 특징과 함께 미래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시간이 많지 않으시거나 죽어도 난 이 포스팅 하나만 볼꺼야!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초간단하게 TADF 재료의 특징을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TADF(Thermal..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10. 13. 27. 형광과 인광의 에너지 전이 (2) - 덱스터 에너지전이(Dexter energy transfer) 형광과 인광에 대해 잘모르신다면 아래 이전 포스팅을 먼저 보고오시길 추천합니다.형광과 인광(1) - 형광편형광과 인광(2) - 인광편형광, 인광의 에너지 전이(1) - 포스터 에너지전이 '마음의 전달은 선물로' 덱스터 에너지 전이지난 시간에는 형광의 에너지 전이 방식인 포스터 에너지전이(Forster energy transfer)에 대하여 알아보는 동시에 에너지 전이를 설명하기 위해 꼭 필요한 OLED의 다층구조(Multi layer)와 도핑(Doping)에 관해서도 간략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전 포스팅들에서도 설명해듯이 형광과 인광은 발광 매카니즘이 다르기 때문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과정도 서로 상이합니다. 형광은 자연이 허락하는 물리법칙을 잘 따라서 정직하게 발광하는데 반해서, 인광은 자연적으로 금..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5. 18. 26. 형광과 인광의 에너지 전이 (1) - 포스터 에너지전이(Forster energy transfer) 형광과 인광에 대해 잘모르신다면 아래 이전 포스팅을 먼저 보고오시길 추천합니다. 형광과 인광(1) - 형광편[각주:1] 형광과 인광(2) - 인광편[각주:2] '마음의 전달은 눈빛으로' 포스터 에너지 전이 OLED는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한가지 유기물만이 아닌 다양한 기능에 특화된 유기물들을 쌓아올려 적절한 역할을 부여합니다. 이를 OLED의 다층구조(Multi layer)라고 하며 현재의 모든 OLED는 이 다층구조를 기반으로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다층구조와 함께 OLED 소자구조의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도핑(Doping)입니다. 여러 유기층 중 발광만을 위한 유기층을 발광층(Emission layer)라고 하며, 도핑은 이 발광층에 두가지 재료 이상을 동시에 섞여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도핑..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5. 17. 25. 배면과 전면발광(Bottom vs Top emission) (2) - 전면발광 우연찮게 길에서 주운 로또랄까~♪ 지난시간까지는 배면발광(Bottom emission)에 대해 다루면서 배면발광과 전면발광(Top emission)의 차이점에 대하여 비교해 보았습니다.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배면발광은 기판쪽으로 빛이 발광되는 방식, 전면발광은 기판의 반대방향으로 빛이 발광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이 발광 방향 때문에 배면발광은 개구율(Aperture ratio)에서 손해를 볼 수 밖에 없고, 전면발광은 이 문제에 대해 자유롭기 때문에 개구율문제에 민감한 소형패널에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 까지 저번 시간에 정리했습니다. 대형패널 = 개구율확보 필수 아님 = 배면발광 소형패널 = 개구율확보 필수 = 전면발광 위 공식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마음만 먹으면 제조사들이 원하는 형태..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5. 10. 24. 배면과 전면발광(Bottom vs Top emission) (1) - 배면발광 앞뒤가 안똑같은 OLED~♪ "OLED 이슈들"에서 다루었던 WOLED와 RGB OLED의 차이점들은 삼성과 엘지의 상업적인 전략에 의해 다른 방식을 선택한 사례이기 때문에 "OLED 이슈들" 카테고리에서 다루었고, 이번에 소개해드릴 배면발광과 전면발광의 차이점에 대한 포스팅에서는 조금 더 이론적인 내용들이 더 들어가기에 교육적인 자료라 판단하고 "OLED 알아봅시다" 카테고리에서 다루게 되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WOLED와 RGB 방식은 엘지와 삼성의 고유 방식으로까지 여겨질만큼 서로의 방식대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WOLED와 RGB 방식은 발색원리 뿐만 아니라 발광 방향도 다른 노선을 걷고 있습니다. 엘지의 WOLED는 배면발광(Bottom emission)이며, 삼성의 RGB는..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5. 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