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35 23. Hyper Fluorescence - 차세대 OLED 기술 Hyper Fluorescence 진정 OLED 끝판왕이 될 수 있을까?TADF가 제 3세대 OLED 후보라고 불리울 때 조용히 등장한 Hyper Fluorescence(이하 HF) 불리우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지난번 시간까지 TADF에 대해 다루면서 TADF가 가지는 고질적인 문제에 대해 다루었고, TADF가 왜 진정한 3세대 OLED가 될 수 없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HF라는 새로운 개념이 생각보다 빠른시간에 등장했습니다. 왜냐하면 TADF가 해결해야만 하는 부분들을 HF가 속시원히 해결해 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HF가 빠르게 등장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왜 HF가 진정한 OLED 끝판왕 후보라 불리우는 이유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Hyper Fluorescence는 사실..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4. 17. 22.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3) - 심화편 다이어트가 필요한 TADF - TADF에 대해서도 벌써 3번째 시간입니다. 처음 의도와는 다르게 자꾸 문제점 제시가 늦어져서 이번편 까지 와버렸습니다. 이번편에서는 단도직입적으로 문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TADF는 너무 EL스펙트럼의 반치폭이 넓습니다. 이 말은 순수한 색을 얻기가 힘들다는 말과 같습니다. OLED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색순도가 높은 청색, 녹색, 적색 즉, 3원색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EL스펙트럼의 반치폭이 넓게 되면 원하는 색좌표를 얻기 힘들어지 때문에 실제 양산 재료로 사용이 어려워집니다. 또 다른 문제는 수명이 짧다는 것인데, 신기하게도 이 수명 문제가 뚱뚱한 TADF의 EL스펙트럼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작은 ΔEst 값.. 모든 사건의 원인 지난 시간까지 계속 반복해서 말..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3. 27. 21.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2) - 심화편 TADF 좋지만 좋지아니하다... 지난 시간에 우리는 TADF의 기본개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 이면에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 이번 시간에 다루기로 했습니다. TADF는 처음 개념이 등장한 이래로 OLED의 미래를 밝혀줄 인광을 대체할 강력한 대안 후보였습니다. 그러나 2012년에 개념이 등장한 이래로 수많은 논문들과 특허가 쏟아졌지만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여주는 재료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면 이처럼 단점이 없을 것 같은 TADF가 왜 상용화라는 문턱앞에서 한발짝도 나아가지 못하는 것일까요.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TADF는 아직 치명적인 두가지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TADF(Thermal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의 개념상 가장 중요한 재료특성이..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3. 22. 20.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1) - 기본편 제 3세대 OLED의 주인공 TADF의 미래에 대해 알아보자. 지난 시간까지 형광과 인광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발광방식에 있어 OLED의 1세대라 하면 역시나 형광방식 이었고, 2세대는 인광이 대세로 자리잡아 지금의 OLED의 전성기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인광이 몇몇부분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아직도 개선해야할 여지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제 3세대 OLED TADF에 대해 오늘 제대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꺼진 불도 다시 보자. 아껴쓰기의 대명사 TADF!! OLED 엔지니어들은 과연 OLED의 어떤면을 개선하고 싶어할까요. 단연코 수명이라고 말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OLED 업계에서 현직으로 일하고 있는 필자의 경우 아직까지도 번인으로 ..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3. 18. 19. 형광과 인광 (2) - 인광편 형광(Fluorescence)과 인광(Phosphorescence). 지난번 글에서 우리는 OLED의 주요한 두 발광방식 중 하나인 형광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광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혹자가 현재의 OLED 기술에 있어서 형광과 인광 두가지 발광현상 중 무엇이 더 중요한지 물어본다면, 저는 당연히 인광이 중요하지라고 대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나중에 말씀드리겠습니다만 앞으로의 OLED 기술은 다시금 형광이 중요해지는 흐름으로 갈 수 있지만 현재 양산되는 제품들에 적용되는 발광방식은 인광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어떠한 장점이 있길래 과거에 형광에서 인광으로 넘어 올 수 밖에 없었는지 왜 다시금 형광으로 돌아가려 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인광(Phosphoresc..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3. 16. 18. 형광과 인광 (1) - 형광편 형광(Fluorescence)과 인광(Phosphorescence). 오늘은 드디어 OLED의 주된 화두인 두 발광방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이야기들이 남았는데 형광과 인광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이야기 진행이 전혀 안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블로그에 OLED에 조금이라도 인연이 있어서 오시게 된 분들이라면 형광과 인광이 무엇인지 최소한 이름은 들어보셧을 겁니다. 그러나!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혹시나 아예 처음듣는 분들도 있을 것 같아서 한번 눈높이를 최대한 낮추어 이야기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형광과 인광은 빛을 발하는 성격이 다른 두 쌍둥이를 칭합니다. 그러나 이 둘은 매우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완전히 반대되는 성격을 가진 이 둘 형광과 인광에 대해..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8. 26. 17. OLED의 색 : 엑시톤과 에너지밴드갭 그리고 스펙트럼 (2) 지난 시간에 우리는 OLED의 색이 결정되는 것이 발광물질의 에너지밴드갭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과 색상에 따라 스펙트럼이 어떻게 보여지는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사실 OLED는 모든것을 스펙트럼으로 말합니다.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학창시절 동안 어떻게 살아왔건 일단은 수능시험 한번으로 모든것을 평가 받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OLED 소자 내부에서 전자가 얼마나 힘들게 발광층으로 넘어왔는지 시간이 얼마나 걸렸든지 간에 이것은 눈으로 보여지지 않습니다. 물론 전기적 데이터를 분석하면 되겠지만 소비자들이 이걸 보지는 않으니깐 예외로 치겠습니다. 그런데 OLED의 스펙트럼이 변하면 우리는 눈이라는 감각기관을 통해 단번에 무엇인가 변화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건이 갤럭시S8의 붉은액정 (액정이라고..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8. 18. 16. OLED의 색 : 엑시톤과 에너지밴드갭 그리고 스펙트럼 (1)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OLED의 역사, 구조, 그리고 간단한 구동원리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역시나 OLED를 공부하면서 느끼는 것은 결국엔 '아~ 그거?? OLED ... 전자랑 정공이랑 만나서 빛나는거??' 밖에 없다는 사실입니다. 그렇습니다. OLED는 결국 이게 어떻게 구동되고 어떻게 만드느냐도 중요하지만 나오는 빛이 얼마나 밝은지, 색이 어떠한 색인지가 결국 중요하겠지요. 그런데 OLED의 색을 결정하는 것은 발광물질의 에너지밴드갭이라고 보면 됩니다. 색을 이루는 스펙트럼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에너지밴드갭 만으로 모두 설명되는 것은 아니나 우리가 추구하는 교양수준의 OLED이론에서는 충분히 설명이 됩니다. 엑시톤(exciton)과 에너지밴드갭(energy band gap) 엑시톤과 에너..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7. 24. 15. OLED의 구동원리 (5) - 재결합(recombination)에 대하여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OLED소자의 유기층내에서 전자의 주입 그리고 이동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알루미늄 그러니까 음극에 해당하는 금속에서 유기물로의 주입을 위해서는 적절한 외부 에너지원이 필요하다는 것 또한 알았고, 주입된 전자들 또한 유기분자사이를 이동해 나아가려면 호핑이라는 현상을 통해 이동해간다는 사실도 알아보았습니다. 자 생각해 봅시다. 전자를 주입시키고 이동시킨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바로 전자를 정공과 만나게 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단지 전자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구리박막을 이용하여 전자들을 시원하게 이동시켯을 겁니다. 그러면 오늘 이 시간에는 바로 우리가 원하는 전자와 정공이 어떻게 만나게 되는지 이해해보도록 합시다. 대부분의 OLED공부를 조금이라도 했다는 학생들에게 물어보면 ..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6. 28. 14. OLED의 구동원리 (4) - 전자이동원리 전자는 분자사이를 징검다리를 건너듯이 총총대며 나아간다! 지난 시간에 우리는 전자가 음극인 알루미늄에서 유기물내로 주입되는 세가지 이론적인 모델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동시에 전극을 이루는 금속박막과 유기물사이의 에너지 차이 때문에 전자가 주입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도 같이 알아보았습니다. 어찌어찌 힘들게 유기물로 주입된 전자가 유기물 내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동하게 될까요?? 오늘 이 시간에는 전자의 유기물 내에서의 이동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체.. 부도체.. 그리고 반도체!!?? 전자의 이동방법에 대해 알아본다고 해놓고 도체는 무엇이고 부도체 거기다 반도체까지 무슨 말일까요? 여기까지 제 포스팅을 읽으신 분들은 제 화법에 어느정도 익숙해 지셧으리라 믿습니다. 맞습니다. 전자의 이..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6. 26. 13. OLED의 구동원리 (3) - 전자주입원리 천리길도 한걸음부터! 전자의 여행은 전자의 주입으로 시작된다.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전자가 갖는 에너지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자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만들어 내려는 우리는 입자적성질보다는 파동적성질이 OLED를 이해하는데 훨씬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아보았고, 전자가 갖는 에너지는 곧 전자가 갖는 파동에너지라는 것 또한 알았습니다. 그러나 전자가 갖고있는 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바꾸려면 아직도 많은 여행들이 남아있습니다. 전자의 본격적인 여행의 첫 이야기인 전자의 주입에 대해 이번시간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자의 마음은 갈대라오! 전자는 불안정한 상태를 참지 못하는 굉장히 안전주의적인 성격을 지닌 존재입니다. 어떠한 원인에 의해 자기가 속해있는 분자나 원자가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되면 전자는..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6. 26. 12. OLED의 구동원리 (2) - 전자에너지 개념 전자가 뿜어내는 에너지의 정체 지난 시간에는 OLED의 구동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OLED가 구동하는데 모든 현상을 만들어내는 전자라는 녀석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 '전자'라는 녀석이 OLED를 구성하고 있는 전극과 유기물사이를 어떻게 자유롭게 이동하고 게다가 밝은 빛까지 낼 수 있는지 전자가 갖고 있는 에너지에 대한 실체를 간단히 이해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전자는 파동덩어리이다!! 전자는 크게 두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자 근처에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는 전자들과 상대적으로 원자 바깥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전자 두가지 형태로 나뉩니다. 원자 바깥에서 자유로운 전자들을 최외각전자 혹은 원자가전자라고 부르며 이 전자들은 원자의 최외각껍질에 위치합니다. 이..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6. 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