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이야기/OLED 이슈들51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란? LG OLED TV의 새로운 돌파구?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가 뭐지? LG에서 2024년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가 적용된 대형 OLED TV를 출시한다고 합니다. OLED의 소재가 점점 더 상향평준화되어 가고 혁신성이 낮아지는 분위기에서 MLA라는 카드를 내보이는 LG입니다. 어떤 MLA는 OLED에서 어떤 카드이고 무엇을 개선하려하는 기술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항상 말씀드리는 게 바로 'OLED는 미완의 기술'이다라는 것입니다. OLED의 남아있는 많은 문제들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1. 알고도 해결못하는 문제 2. 해결방법을 모르는 문제 오늘 이야기할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LA, Micro Lens Array)가 바로 '1번 해당되는 알고도 해결 못하는 문제' 범주에 오랫동안 자리 잡았던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12. 8. 중수소 OLED란? 어떻게 수명을 늘릴수 있을까? LG디스플레이의 Ex OLED TV 번인을 막기 위한 중수소 기술 OLED 재료의 수명 해결이 OLED 수명을 결정한다. 비록 모바일에서는 OLED가 완전하게 자리를 잡았지만, 이는 스마트폰의 모바일용 디스플레이가 TV나 차량용 전장장비들처럼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큽니다. OLED를 이루고 있는 픽셀들의 수명이 다해가기도 전에 여러 이유에서든 장비를 교체하니 OLED의 수명이슈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게 됩니다. 게다가 근거리에서 화면을 보는 것이 대부분이고, 밤이나 새벽에 낮은 밝기로 화면을 보기도 하는 등 높은 휘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OLED의 수명 관점에서의 약점을 숨기기 딱 좋은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의 OLED 화면입니다. 그러나 대형 TV 분야에서는 이야기가 전혀 다릅니다. 2~3년은 기본이고 10년 이상 계속 사용하는 TV에서는 OLED의 수명..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11. 17. 52. 아이패드, 맥북은 OLED 왜 안쓰지? 아이패드, 맥북은 언제 OLED를 사용할까? 이제 OLED 패널을 사용하지 않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거의 없을 겁니다. 적어도 우리나라 기준에서는 전량 OLED를 탑재하고 있는 갤럭시 점유율이 높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OLED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인구비율이 상당히 높습니다. 게다가 아이폰도 아이폰12 부터는 최하위 모델인 미니조차 모두 OLED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방향은 완전히 OLED로 전환된 분위기이고, 이미 사용자 경험에서 LCD를 압도하기 때문에 프리미엄 제품군에서 LCD를 채택하는 방향으로 가는 일은 생각하기 힘들게 되었습니다. 2021년 기준으로 스마트폰의 OLED 탑재율은 42%에 달하며, 22년에는 44%로 탑재율이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체감 상으로는 거의 100%에..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10. 14. 51. LTPO OLED란?? - 왜 애플 최상위 제품에만 들어갈까? 애플 팬들은 이미 익숙한 LTPO... 아닌가?? 아이폰에 노치가 있던 말던, 충전기를 주던 말던, 소비자들은 별로 신경을 안 씁니다. 아이폰은 이제 믿음의 영역으로 들어왔고 스마트폰 교체주기가 되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신제품을 구매합니다. 충전기 안준다고 안 살 것도 아니고, 충전기 두 개 준다고 더 많이 팔릴 것도 아닙니다. 눈에 보이는 이러한 제품 구성의 변화도 신경을 안 쓰는데 일반 소비자분들이 스마트폰 화면에 어떤 기술이 적용됐는지는 더더욱 신경을 안 쓰겠죠? 오버 테크놀로지에 가까운 최신 기술이고 제조비용이 매우 큰 비싼 기술이지만, 당장 눈에 띄지는 않는 LTPO 기술. 과연 어떤 기술이길래 애플 제품에서도 LTPO가 들어가는 급과 그렇지 않은 제품으로 급 나누기를 하고 있는 것일까요? 위..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9. 21. 50. 청색 인광 도판트란?? - 왜 아직도 나오지 않을까 마지막 남은 숙제, 청색 인광 발광체 청색 인광이라는 단어를 검색해서 이 글을 보고 있는 사람들은 적어도 디스플레이를 전공하거나, 업으로 삼거나 혹은 현직 대학생 그리고 관련 기술 정보를 얻고자 하는 투자자분들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전문 분야의 글이기도 하니 글의 난이도를 조절하기 조금 어렵기도 한데 할 수 있는 한 최대한 난이도를 낮추어서 이야기를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OLED는 상당히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이 엃혀있고, 이 기술들의 관계들을 입체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복합기술입니다. 따라서 이 글에 언급되는 단어나 용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되시면 페이지 상단의 블로그 내 검색을 통해서 조금 이해의 폭을 넓히시는 것을 먼저 추천드립니다. OLED를 정말 쉽게 큰 틀에서 이해해보자면 기판(양극)과 ..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9. 14. 49. UPC? UDC? 카메라가 없는 화면을 위한 필수 재료 CPM!!(Cathode Patterning Material) UDC 구현을 위한 필수적인 재료 - CPM(Cathode Patterning Material) UDC?? UPC?? 영어에서 매우 흔하게 여러 의미로 사용되는 이 약자들은 적어도 OLED 분야에서는 가장 최신 기술 중 하나이자 디스플레이의 기능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 그리고 디자인적인 면에서 완벽함을 가져다 줄 기술입니다. 저는 2019년에 UDC(Under Display Camera) 혹은 삼성에서 부르는 용어인 UPC(Under Panel Camera)가 곧 샤오미를 통해 상용화 된다고 포스팅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포스팅을 한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갤럭시 폴드에 이 UPC가 적용되어 나오고 있으니.. 참 세월도 빠르고 기술 발전도 빠른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이 세상에 등장한 이후로 디스플레이는 위 ..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9. 13. 48. 마이크로 LED vs 마이크로 OLED (OLEDoS) - 무슨 차이지?? micro LED 그리고 micro OLED LED, OLED, LCD, micro OLED, micro LED, mini LED... 복잡하다.. 전공자인 제가봐도 복잡하고 많고 어렵습니다. 하물며 일반 소비자분들에게 이러한 디테일한 기술적 차이를 어필하기란 더욱 더 쉽지 않습니다. 제 블로그는 OLED를 메인으로 해서 곁가지로 LCD와 LED 기술을 조금~ 소개드린바 있습니다. 앞으로도 최대한 비전공자 시선에서 쉽게 소개드리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마이크로 LED는 표면적으로 이름 그대로 단지 LED를 마이크로미터(㎛) 사이즈로 작게 만드는게 핵심인 기술이지만 마이크로 OLED는 발광체만 유기물을 사용하지 기판, 공정기술 등이 전혀 다른 새로운 디바이스입니다. 마이크로 OLED는 OLEDoS(올레도스,..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7. 10. 47. 마이크로 LED, OLED 자리를 넘보나?, 슬슬 윤곽이 보인다 2016년 개인적으로 운영하던 투자블로그에 '전공이야기나 해볼까?' 하고 시작했던 OLED 이야기를 할때만 해도 OLED TV는 LCD TV의 4배에 가까운 가격차이를 보였고, LG에서 나온 77인치 OLED TV는 4천만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가격에 출시를 했습니다. TV도 그렇고 갤럭시S 시리즈를 제외하면 OLED 패널을 쓰는 스마트폰도 전혀 없었고, 너무 심한 번인 이슈에 항상 이게 과연 잡힐 수 있는 문제인거냐? 하고 인터넷상에서도 굉장히 많은 의견다툼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올리던 포스팅의 주제도 'OLED는 주력 디스플레이로 언제 쯤 채택될까?' 정도의 뉘앙스의 글들도 꽤나 올렸던것으로 기억합니다. 2022년이 된 지금은 적어도 스마트폰용 OLED 패널에서는 번인을 거의 체감하기 힘든 수준이 ..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6. 29. 46. 'OLED 기술유출' 7년간 100여명 중국으로 이직 오늘자 OLED 기사를 보니 OLED 기술 유출에 관한 뉴스가 올라왔더군요. 골자는 중국 BOE로 삼성과 LG 디스플레이 인력들이 대거 이직하여 주요 기술이 유출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https://www.inews24.com/view/1493453 *출처 inews 장유미 기자 국가정보원과 산업통상자원부가 2016년부터 5년 반 동안 국내 디스플레이 기술이 유출되려다 적발한 사례가 총 17건이라고 합니다. 그 중 국가안보와 경제에 영향을 미칠 만큼 큰 핵심기술도 5건이나 된다고 하죠 사실 삼성 디스플레이과 LG 디스플레이 같이 규모가 큰 대기업에서의 인재 유출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고 어쩌면 더 큰 문제는 장비회사들 같이 규모가 비교적 작은 회사들에서 발생하는 기술유출을 일일이 막을 수 가 없다는 것입니..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6. 23. 45. 2022년,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 키워드는? 오랜 시간 블로그를 비웠습니다. 2019년 9월이 디스플레이 관련 마지막 포스팅이었더군요. 약 3년이 흐른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개인적인 관심이 적었던 터라 많은 일들을 놓치고 있었습니다. 개인적인 감도 잡아볼 겸 현재 일어나고 있는 디스플레이 산업에 대한 분위기를 최근 올라오는 기사들을 통해 정리해보겠습니다. 1. 이젠 진정한 OLED 천하 제가 블로그를 처음 열고 OLED 이야기를 했을 때가 2017년도였습니다. 당시엔 LCD가 주류였고, OLED 이야기를 하는 거 자체가 굉장히 마이너 한 주제를 다루는 블로그였습니다. 그러나 5년이 지난 지금, 최근 6개월치 주요 디스플레이 기사 중 LCD에 대한 기사는 단 한건도 없다는 것에 꽤나 놀랐습니다. OLED가 언제 디스플레이 산..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22. 6. 21. 44. 폼팩터 혁신이란? 폴더블? No!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가 스마트폰의 미래 그만 접지(fold)... 이젠 말자(roll)!! - 유튜브로 보기 혁신 그 이상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한 갤럭시 폴드가 많은 논란과 이슈를 극복하고 2019년 9월 6일에 정식 출시가 되었습니다. 시중에 풀리는 물량이 적기 때문에 정식판매가인 239만원을 훌쩍넘긴 400만원에도 웃돈을 주고 구입하는 사람들도 생길만큼 성공적인 첫발을 내딛었습니다. 폼팩터(Form factor) 혁신. 즉, 형태의 다양화 혁신은 인류의 상상속에서 항상 요구되어 왔던 미래 모습이었고, 이제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기술들을 필두로 현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 첫 시도는 삼성의 갤럭시 라운드, 엘지의 G플렉스 등 화면은 휘어있지만 고정된 형태를 갖는 초기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갖는 스마트폰이 그 ..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9. 9. 20. 42. 갤럭시S11에 도입될 소재로 본 OLED 재료 국산화 현황 삼성 갤럭시의 아몰레드는 매년 업그레이드 된다. 'M'에 울고웃는 기업들 : 유튜브로 보기 M9, M10. 뭐야 이게?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이름일 것이고, 사실 알 이유도 없습니다. 그러나 OLED 업계에서는 이 'M' 때문에 울고 웃고, 회사의 미래가 걸리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완전히 OLED의 문외한인 대다수의 일반인들을 기준으로 작성해보려 합니다. 최근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소재에 관하여 관심이 높아진 상태이고, 이에 따라 OLED 소재의 국산화 수준에 대해서도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OLED는 일반소비자들이 이해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기술용어, 원리 상의 장벽이 있기 때문에 많은 소비자들의 관심에 비해 깊게 알기 어려운 분야이기도 합니다...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9. 8. 29.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