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DF10 Sensitized TADF란? 삼성의 차세대 청색 인광에서 사용될 기술? 본 포스팅은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의 모두 공개 파트입니다. 전체 내용은 구독자분들을 대상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구독 채널인 Allled.TV+ 소개는 여기 를 클릭하셔서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의 청색인광 방식은 TADF 하이브리드? 이번 이야기는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심이 없는 일반소비자분들은 전혀 관심없는 주제 일 수 있으나, 오랜만에 블로그에 항상 저를 응원해주시는 독자님께서 요청하신 주제이기에 감사한 마음으로 글을 올려봅니다. 그 옛날 손담비의 아몰레드폰에 OLED가 적용되기도 전부터 OLED 학계에서 아주아주 중요한 문제였던 2세대 OLED 발광 기술인 인광을 무엇으로 대체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인광 발광 기술은 현재 모든 OLED를 이용한 스마트폰과 OLED TV에 들어가는 발광.. 구독자 프리미엄 컨텐츠 2023. 2. 9. 삼성, 독일 TADF-OLED 업체 Cynora 전격 인수_사이노라, 삼성 "삼성디스플레이, 독일 OLED 스타트업 사이노라 3억달러에 인수" - 원문링크 기사내용 요약 - 삼성디스플레이가 독일 TADF 재료 회사인 cynora를 3억달러에 인수 - 사이노라가 보유한 지식재산권(특허 등)과 기술 인수. - 사이노라 연구인원들의 고용승계는 아님. - 직원들은 몇주 동안 계약 종료를 진행 했음. - 사이노라는 삼성, LG에서 투자를 받았던 이력이 있음. - 2017년에 333억(삼성벤처투자 133억, LG디스플레이 200억), - 2019년에 300억 등 상당히 많은 액수의 투자를 받았음 - 사이노라는 폴더블 기기에 사용되는 제작 기술에 특화(?) - 본문 상에 삼성의 인수 이유로 사이노라의 폴더블 폰 특화 기술을 언급. - 애플, 구글도 폴더블 폰 시장에 들어올 것으로 보임 - .. OLED 이야기/OLED 뉴스들 2022. 6. 29. 삼성, LG 차세대 OLED TADF재료 기업 Cynora에 또 투자한다 삼성,LG OLED 소재기업에 추가 투자...미국유럽 금융권도 가세 - 에너지경제 박성준 기자 *기사원문 삼성과 LG 그리고 서구 자본도 투자진행TADF재료 회사인 싸이노라에 추가투자 기사내용 요약 - 삼성, LG에서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소재 확보 전력투구- 효율, 수명 등을 개선하기위해서 소재 개선은 절대적 - 독일 재료기업 사이노라(Cynora)가 투자유치 활동으로 2500만 달러(약 300억원) 투자유치 - 삼성벤처투자, LG디스플레이 및 미국, 독일, 스위스 금융기관 투자 참여 - 사이노라는 기존에 이미 투자를 받은 상태- 2년전 LG디스플레이는 1500만유로(약 200억원), 삼성벤처투자는 1000만 유로(약 133억원)을 투자 - 사이노라의 주요 투자처는 아래와 같음 벤처캐피털 펀드 M.. OLED 이야기/OLED 뉴스들 2019. 5. 22. 33. 3세대 TADF OLED 과연 어느 수준까지 올라왔을까? TADF 등장 14년차 현재 기술 수준은??OLED가 뭔지도 잘 알려져 있지 않던 2005년... 일본 규슈대 아다치 교수는 TADF OLED라는 2세대 인광 OLED를 대체할 기술을 발표합니다. TADF(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는 이미 알려져 있던 현상이었지만 이를 OLED에 접목한 기술은 아다치 교수에 의해 제안됩니다. TADF에 대해 생소하시다면 아래 포스팅들을 먼저 참고 바랍니다.2018/03/18 -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 20.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1) - 기본편2018/03/22 -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 21.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2) - 심화편2018/03/..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9. 5. 7. 29. 새로운 개념의 TADF 도판트 등장 - 붕소 화합물 (2) 단점편 지난 글은 붕소 화합물 TADF 재료의 장점편이었습니다.29. 새로운 개념의 TADF 도판트 등장 - 붕소 화합물 (1) 장점편 눈부신 장점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단점을 지닌 붕소 화합물 TADF 재료지난 시간에 보론(붕소) TADF 재료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시한번 보론 TADF 재료의 핵심적인 특징을 정리 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보론(붕소, B) TADF 재료의 특징1. 다중공명효과(Multiple resonance effect)를 이용하여 고정된 분자구조에서 HOMO LUMO를 파동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2. 파동적으로 분리된 HOMO LUMO에 의해 비교적 낮은 ΔEst를 갖는다.3. 공간적인 HOMO LUMO 분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HOMO LUMO의 공간적인 중첩이 커져서 진..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10. 18. 28. 새로운 개념의 TADF 도판트 등장 - 붕소 화합물 (1) 장점편 시간이 많거나 TADF에 대한 개념이해가 부족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먼저 보고오시길 추천합니다. 20.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1) - 기본편 21.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2) - 심화편 22.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3) - 심화편2 드디어 기존 TADF의 단점을 개선한 새로운 TADF 구조가 등장하다! 20~22편에서 TADF(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의 개념과 이 개념을 이용한 재료의 특징과 함께 미래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시간이 많지 않으시거나 죽어도 난 이 포스팅 하나만 볼꺼야!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초간단하게 TADF 재료의 특징을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TADF(Thermal..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10. 13. 23. Hyper Fluorescence - 차세대 OLED 기술 Hyper Fluorescence 진정 OLED 끝판왕이 될 수 있을까?TADF가 제 3세대 OLED 후보라고 불리울 때 조용히 등장한 Hyper Fluorescence(이하 HF) 불리우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지난번 시간까지 TADF에 대해 다루면서 TADF가 가지는 고질적인 문제에 대해 다루었고, TADF가 왜 진정한 3세대 OLED가 될 수 없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HF라는 새로운 개념이 생각보다 빠른시간에 등장했습니다. 왜냐하면 TADF가 해결해야만 하는 부분들을 HF가 속시원히 해결해 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HF가 빠르게 등장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왜 HF가 진정한 OLED 끝판왕 후보라 불리우는 이유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Hyper Fluorescence는 사실..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4. 17. 22.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3) - 심화편 다이어트가 필요한 TADF - TADF에 대해서도 벌써 3번째 시간입니다. 처음 의도와는 다르게 자꾸 문제점 제시가 늦어져서 이번편 까지 와버렸습니다. 이번편에서는 단도직입적으로 문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TADF는 너무 EL스펙트럼의 반치폭이 넓습니다. 이 말은 순수한 색을 얻기가 힘들다는 말과 같습니다. OLED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색순도가 높은 청색, 녹색, 적색 즉, 3원색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EL스펙트럼의 반치폭이 넓게 되면 원하는 색좌표를 얻기 힘들어지 때문에 실제 양산 재료로 사용이 어려워집니다. 또 다른 문제는 수명이 짧다는 것인데, 신기하게도 이 수명 문제가 뚱뚱한 TADF의 EL스펙트럼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작은 ΔEst 값.. 모든 사건의 원인 지난 시간까지 계속 반복해서 말..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3. 27. 21.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2) - 심화편 TADF 좋지만 좋지아니하다... 지난 시간에 우리는 TADF의 기본개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 이면에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 이번 시간에 다루기로 했습니다. TADF는 처음 개념이 등장한 이래로 OLED의 미래를 밝혀줄 인광을 대체할 강력한 대안 후보였습니다. 그러나 2012년에 개념이 등장한 이래로 수많은 논문들과 특허가 쏟아졌지만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여주는 재료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면 이처럼 단점이 없을 것 같은 TADF가 왜 상용화라는 문턱앞에서 한발짝도 나아가지 못하는 것일까요. 한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TADF는 아직 치명적인 두가지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TADF(Thermal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의 개념상 가장 중요한 재료특성이..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3. 22. 20. TADF - OLED의 미래가 될것인가 (1) - 기본편 제 3세대 OLED의 주인공 TADF의 미래에 대해 알아보자. 지난 시간까지 형광과 인광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발광방식에 있어 OLED의 1세대라 하면 역시나 형광방식 이었고, 2세대는 인광이 대세로 자리잡아 지금의 OLED의 전성기를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인광이 몇몇부분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아직도 개선해야할 여지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 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제 3세대 OLED TADF에 대해 오늘 제대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꺼진 불도 다시 보자. 아껴쓰기의 대명사 TADF!! OLED 엔지니어들은 과연 OLED의 어떤면을 개선하고 싶어할까요. 단연코 수명이라고 말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OLED 업계에서 현직으로 일하고 있는 필자의 경우 아직까지도 번인으로 ..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8. 3.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