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16 16. OLED 박막 봉지공정 원리(TFE mechanism) 이야기 (4) - 계면 접착력(interlayer adhesion) 일단 붙어있어야 뭐라도 막는다! 지난 시간까지 OLED의 효과적인 박막 봉지(TFE, Thin Film Encapsulation)을 위해서 다중 다이아드(dyad)를 구성하여 수분과 산소의 침투를 막는 다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중 다이아드를 구성하면 수분과 산소의 침투 경로를 길어지게 만들어서 지체시간(Lag time)을 늘릴 수 있으므로 OLED가 장시간 안정한 특성을 보이는데 매우 유리해집니다. 다중 다이아드(Multi dyad)의 측면 현미경 사진 그러나! 이 다중 다이아드의 문제점은 바로 성질이 전혀다른 유기/무기층들이 교차로 반복적으로 쌓인다는 것입니다. '왜이게 문제야?' 라고 생각하실수도 있습니다만 조금만 더 생각을 해봅시다. 유기물과 무기물은 전혀 성질이 다르고 이 두 재료가 안정하게 ..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9. 9. 19. 15. OLED 박막 봉지공정 원리 (TFE mechanism) 이야기 (3) - 다층박막(Multiple Layers) 구불구불 고갯길을 만들어 주자지난 시간에는 OLED의 인캡공정이라 불리는 박막 봉지(TFE, Thin Film Encapsulation) 공정 중 발생하는 박막의 결함(Defect)에 의한 수분과 산소침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결국 박막을 구성하는 재료 자체의 투습도와 확산이 극히 제한되더라도 공정 중에 발생하는 파티클, 크랙, 핀홀 등에 의해 침투경로가 발생하게 되고 단일 막으로 이를 제어하기는 쉽지 않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러면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특성이 다른 재료를 교차로 구성하는 방법입니다. 바로 다층막(Multiple layers)로 박막봉지 막을 제작하면 단일 박막에 형성된 결함들을 다른 재료로 막을 수 있고, 침투 경로 또한 길게 만들어 줄 수..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9. 4. 19. 14. OLED 박막 봉지공정 원리 (TFE mechanism) 이야기 (2) - 결함이 미치는 영향 적은 내부에 있다지난 시간에는 OLED의 인캡 혹은 인캡슐레이션이라고 불리는 박막 봉지(Thin Film Encapsulation)를 위해 단일막이 가져야하는 특성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수분과 산소를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단일막을 밀도가 높고 균일한 수분에 대한 용해도가 없는 재료를 선택하면 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런데 단일막을 아무리 밀도가 높고 용해도가 없는 즉, 방수가 잘되는 재료를 사용한다고 해도 수분, 산소의 침투는 다른 이유에 의해 발생합니다. 바로 결함(defect)에 의해 발생하는데요. 결함은 말그대로 막자체에 생기는 크랙, 화학적 불순물, 파티클 등으로 생기는 모든 요소들을 말합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결함에 의한 침투는 피해갈 수 없고, 막의 두께와는 상관없이 발생한다고 합니..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9. 4. 12. 13. OLED 박막 봉지공정 원리 (TFE mechanism) 이야기 (1) - 단일막 어떻게 그 작은 수분과 산소가 막힐까?지난시간까지는 박막봉지공정(TFE, Thin Film Encapsulation)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박막 봉지를 직접하든(Direct TFE) 라미네이트 하든(Lamination TFE) ,결국 박막봉지는 여러 유무기층으로 이루어 지게 됩니다. 그런데 무작정 아무재료나 조건으로 그냥 얇게 여러층을 쌓는다고 효과적으로 수분과 산소를 막기는 어렵습니다. 재료마다 다양한 특징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최근 출시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려면 물리적인 스트레스까지 고려해야합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박막봉지공정에도 상당히 디테일한 연구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박막봉지공정 원리 이야기는 몇번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며, 이번 시간에는 단일막 상태에서의 침투에 대..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9. 4. 11. 12. OLED 박막 봉지공정(TFE, Thin Film Encapsulation) 이야기 소형&플렉서블 OLED에 적용되는 봉지공정 지난 시간까지 단단한 재료인 글래스, 금속 캔을 이용한 OLED 봉지공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글래스와 금속캔은 둘다 형태가 고정되며, 단단하고 글래스의 경우 파손될 확률도 있습니다. 특히나 OLED의 소형화, 경량화가 추세인 현재의 시장상황에서 글래스와 금속캔의 두꺼운 두께와 무게는 완성품의 가치를 떨어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봉지공정은 수분과 산소를 막는데 의의가 있는 것이지 어떠한 재료를 쓰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최근에 와서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용 소형 OLED 패널의 경우 모두 박막 봉지공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박막이란 10um(micro meter, )이하의 막을 말하며, 이러한 얇은 막을 적용함으로써 OLED 패널 전체의 무게와 크기를 획기적..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6. 15. 11. 글래스, 금속 캔 봉지공정(Glass, metal can encapsulation) 이야기 OLED에 튼튼한 뚜껑을 만들어 주자.OLED는 유기물로 이루어진 전자 디바이스입니다. 유기물은 수분과 산소에 노출되면 빠르게 원래의 특성을 잃어버리고 소자가 열화(Degradation)되고 맙니다. 이러한 사실은 초창기의 OLED 개발때부터 당연히 인지되어있던 사실들이었기 때문에 산소와 수분의 노출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봉지(Encapsulation) 라는 컨셉을 내놓게 됩니다. 사실 컨셉이라고 해보았자 보온병을 뚜껑으로 막아 외부와 내부의 열을 차단하듯이 봉지공정도 소자내부에 수분과 산소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 기본임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어떻게 막느냐가 고민일 수 있는데, 초창기에도 그랬지만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OLED 기판(Substrate)의 재료가 유리이기 때문에 봉지재료로 첫번째로..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6. 6. 10. OLED 봉지공정 요구사항(Encapsulation Requirements) 이야기 봉지공정으로 검색하셔서 방문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먼저 보고오시길 추천합니다.OLED 봉지공정(Encapsulation) 이야기 산소, 수분 너네 얼마면 돼, 얼마면 돼냐?봉지공정은 OLED의 주재료인 유기물의 수분과 산소에 약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최후의 보루이자 캡틴아메리카의 비브라늄 방패같은 존재입니다. 제 아무리 좋은재료, 좋은 구조로 만들어 놓아봤자 수분과 산소에 노출된 OLED의 유기물들은 금새 그 특성을 잃어버리고 맙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유기물은 수분과 산소에 그리 취약하지 않습니다. 이게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냐 지금 방금 유기물이 수분과 산소에 취약하다고 해놓고.. 아닙니다. 저는 분명 'OLED의 유기물'이 수분과 산소에 취약하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럼 왜 OLED를 이루는 유..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5. 27. 9. OLED 봉지공정(OLED Encapsulation) 이야기 뚫리면 죽는다! 와칸다 포레버! OLED(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는 좋은 화질, 저전력 소비,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유망한 디스플레이 기술입니다. 1990년대 초창기의 조악했던 최초의 제품들에 비하면 현재의 OLED의 성능과 수명 모두에서 너무나 놀라운 발전을 이루어왔습니다. 그러나 언제나 그래왔듯이 OLED의 최대의 약점은 첫번째도, 두번째도, 마지막 백번째도 수명에 관련된 여러가지 문제점들입니다. 특히나 OLED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바로 수분과 산소에 극도로 민감하다는 것입니다. 아주 적은 양의 수분과 산소라도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OLED를 이루는 유기물들이 손상을 입게되어 번인(Burn-in)과는 다른 수명 저하 현상이 발생합니다. 번인이 소자가 구동하는 동안의..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5. 24. 8. 플렉서블 글래스(Flexible Glass) 이야기 포기할 수 없는 글래스의 장점들..글래스는 기판으로써 갖는 장점이 너무나 분명한 재료입니다. 유리가 갖는 열팽창계수, 수분산소차단성, 투명도 그리고 표면 거칠기 등 사실상 기판이 가져야할 모든 특성을 가진 재료입니다. 그러나 다들 아시다시피 글래스는 잘 깨지며, 유연하지 못하다는 가장 큰 단점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연구진들이 글래스를 잘 깨지지 않게하며 유연한 특성을 조합시키려 노력하였고 어느정도 이러한 특징을 갖는 기판재료들이 선보이고 있습니다. 사실 유리는 흐물흐물한 재료입니다. 질이 낮은 순수 유리로 된 창문이 시간이 지날수록 위쪽이 헐거워 지면서 달그락 대는 현상도 유리가 흐물흐물하기 때문에 아래 방향으로 자꾸 흘러내려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그러나 그 속도가 너무나 느려 인..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4. 30. 7. 금속박 기판(Metal Foil substrate) 이야기 복원성이 없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기판고분자 기판(Polymer substrate)은 분명히 유연한 특성을 가집니다. 그러나 이 기판의 가장 큰 특징은 형태 복원성이 너무 크다는 겁니다. 여러분들은 경험상 패트병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은 구부리기는 쉬우나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크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만드려는 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이 성질은 좋게 작용할 수도 나쁘게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항상 빳빳하게 펴있다가 잠깐 모양만 바꾸어야 하는 경우에는 복원력이 크면 매우 좋지만, 특정 모양을 계속 유지시키고 싶은 옥외 광고나 형태적으로 디자인 된 조명에서 사용하려고 하면 큰 복원성은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오늘 소개할 금속박 기판은 특정 목적에서 굉장히 유용한 대안이 될 ..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4. 20. 6. 고분자 기판(Polymer substrate) 이야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필수품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이나 TV에는 이제 일상적으로 휘어진(Curved) 디스플레이들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제품들은 이미 휘어놓기만 했지 사용자가 임의로 구부리거나 모양을 바꿀 수 없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진성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판부터 구성 소재들이 모두 유연소재를 사용하여 마음대로 모양을 바꿀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기술적 요구사항에 맞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기판 후보로 유력한 것이 바로 지금 소개해 드릴 고분자 기판(Polymer substrate)입니다. 고분자는 별개 아니다 코카콜라 패트병이 바로 고분자고분자.. 이름만 들어도 복분자가 생각나는.. 아닙니다. 죄송합니다. 사실 고분자라고 하면 일반 ..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4. 19. 5. 굴절률(Refractive Index) 이야기 광자를 잘만들면 뭐하나 밖으로 내보내야지!광학소자기판 재료는 재료의 종류를 막론하고 굴절률이 미치는 영향이 너무나 큽니다. 빛이 나아가는 길이되는 매질이 바뀔때마다(계면이라고 표현) 빛의 속도가 줄었다가 빨라졌다가는 반복하며 재료들을 지나가게 됩니다. 재료들마다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광학적 문제들을 야기하게 됩니다. 그러면 기판 재료로 사용되어야 하는 재료의 굴절률은 어떠한 특성을 가져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굴절률차이가 소자에 미치는 영향은?? 굴절률(n, Refractive Index & index of refraction)이란 사실 광학소자의 광학특성의 전부라고 표현 할 수 있습니다. 굴절률차이로 인하여 빛의 경로가 바뀌고 바뀌는 경로가 커지게 되면 밖으..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3. 3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