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의 모든것16 11. 글래스, 금속 캔 봉지공정(Glass, metal can encapsulation) 이야기 OLED에 튼튼한 뚜껑을 만들어 주자.OLED는 유기물로 이루어진 전자 디바이스입니다. 유기물은 수분과 산소에 노출되면 빠르게 원래의 특성을 잃어버리고 소자가 열화(Degradation)되고 맙니다. 이러한 사실은 초창기의 OLED 개발때부터 당연히 인지되어있던 사실들이었기 때문에 산소와 수분의 노출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봉지(Encapsulation) 라는 컨셉을 내놓게 됩니다. 사실 컨셉이라고 해보았자 보온병을 뚜껑으로 막아 외부와 내부의 열을 차단하듯이 봉지공정도 소자내부에 수분과 산소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 기본임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어떻게 막느냐가 고민일 수 있는데, 초창기에도 그랬지만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OLED 기판(Substrate)의 재료가 유리이기 때문에 봉지재료로 첫번째로.. OLED 이야기/OLED 백과사전 2018. 6. 6. 15. 번인의 원인 OLED 수명문제 해결 가능할까? (1) - 원인 번인이 무엇인지 잘모르신다면 아래 이전 포스팅을 먼저 보고오시길 추천합니다. 아몰레드 번인에 대해 알아보자 (1) - 정의편 아몰레드 번인에 대해 알아보자 (2) - 현상편 사람이나 동물이나 유기물이나 죽게 되는 이유가 있다. 사람과 동물 그리고 OLED 이 세가지 아무런 관련도 없어보이는 것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모두다 유기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입니다. 위 두가지 번인 특집에서 알아본대로 유기물이란 탄소사슬로 이루어진 탄소화합물을 유기물이라 하며, 우리 몸을 이루는 대부분의 구성성분은 유기물 형태로 구성됩니다. 동물은 물론 식물도 마찬가지로 생명체는 다양한 유기물 복합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모든 동물과 식물은 제각각의 수명이 존재합니다. 인간만이 이 제한된 삶의 길이를 길게 이어보..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8. 5. 15. 7. 갤럭시S8 붉은액정 원인 (2) - 테두리 색상 문제 지난 시간에 갤럭시 S8의 붉은액정 문제원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오늘은 제 2탄 붉은 테두리 및 녹색 테두리문제입니다. 인터넷에 테두리 관련한 문제를 살펴보니 붉은테두리 문제도 이슈이지만, 녹색테두리도 이슈이더군요. 무슨색이던 아무튼 문제가 발생했으니 한번 원인을 분석해봅시다. 자.. 거창하게 시작하긴 했는데 무슨 이야기로 운을 떼야할지 막막하군요... ㅋㅋ.. 왜냐하면 이 테두리 문제는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얇게얇게 알고있어야 이해가 쉽기 때문입니다. 일단 이 현상을 두리뭉술하게라도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식들을 살펴봅시다. 1. 광학 (중학교때 배우는 스넬의 법칙 수준)2. 분광학 (가시광 스펙트럼을 파장개념으로 이해해야함)3. 한국어 (한글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이.. OLED 이야기/OLED 이슈들 2017. 5. 31. 7. OLED의 역사 (3) - 인광소자 개발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OLED의 역사적인 사건중 도핑소자 개발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간단히 정리를 해보자면 OLED의 역사 (1)에서 언급된 최초의 OLED 소자가 제작되고 발표된 사건은 분명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에는 충분했지만 발광특성이 기존의 형광등이나 심지어 백열들에도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그저 '아 저런것도 가능하구나' 정도의 의미 이상을 갖기는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OLED의 역사 (2)에서 다룬 도핑소자의 개발은 낮은 효율의 한계를 보여주었던 OLED가 상당히 개선된 효율을 보여줌으로써 발광장치로써의 가능성을 열어준 사건이었습니다. 오늘은 그러면 어떠한 사건이 또 언급될까요 다시한번 OLED 개발역사에 있어 중요한 11가지 사건을 열거해봅시다. 1. 1965년 : 안트라센(Anth.. OLED 이야기/OLED 알아봅시다 2017. 5. 25. 이전 1 2 다음